Q. 임플란트 깨진부분이있는데 어떻게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임플란트 보철물이 깨진 경우에는, 깨진 부위가 크지 않지만 표면이 날카로워 불편하다면 해당 부위를 부드럽게 다듬어 주기만 해도 됩니다.하지만 깨진 부위로 인해 해당 부위에 음식이 잘 끼게 되거나 깨진 부위가 기능을 하는 부위거나 깨진 부위가 큰 경우 등에서는 보철물을 다시 제작해야 할 수 있습니다.임플란트 주면에도 원래의 치아와 마찬가지로 음식물 찌꺼기가 잔류할 수 있고, 세균이 증식할 수 있고, 치태가 침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잇몸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잇몸 염증의 발생, 회복이 반복되면서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치주염이 발생 하여 임플란트가 흔들릴 수 있고 이경우에는 임플란트를 뽑아야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때문에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칫솔질 및 치간칫솔 등으로 구강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주기적인 스케일링을 하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보통 임플린트 치료 직후에는 6개월마다 정기검진이 필수적이며, 그 후에는 최소 1년에 1회는 치과에 내원하여 상태를 점검받는 것이 권장됩니다.
Q. 신경치료를 했던 부분이 아파서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질문만으로는 정확한 상태를 알기 어렵습니다.해당 부위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은 여러가지로, 신경치료 했으나 감염이 재발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잇몸질환이나 치주질환이 발생하여 통증이 있는 경우, 혹은 해당 치아가 아닌 다른치아가 원인으로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등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때문에 치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상태를 검사받고, 통증 원인에 따라 치료계획을 상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Q. 스케일링 받을 때 이가 시리면 신경치료 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스케일링시 시린 증상이 발생한다고 하여 신경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스케일링 후 일시적으로 잇몸이 들뜨고 치아를 덮고 있던 치석이 사라짐으로 인해 치아가 예민해져 일시적으로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반응이지만, 과도하게 시간 경우에는 치경부마모가 있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치경부(치아의 잇몸과 닿는 부위)는 법랑질(치아의 가장 바깥층, 가장 단단한 조직)이 가장 얇은 부위입니다. 단순히 씹는 작용을 통해서도 해당 부위가 조금씩 깨져나갈 수 있습니다.이 때, 칫솔질을 좌우로 세게 하는 행동으로 해당 부위가 마모되는 것을 가속화 할 수 있습니다. 단단하거나 질긴 음식을 즐겨 먹거나 씹는 힘이 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마모가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패인 정도가 아주 작은 경우에는 시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약제를 도포하며, 그 이상으로 패인 경우에는 떼우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간혹 신경이 보일정도로 심하게 패인 경우나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신경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