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임플란트 없이 흔들리는 이를 치료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질문자님의 정확한 구강상태를 보지 않고 설명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우나, 잇몸이 붓고 치아가 흔들리는 경우라면 심한 치주염의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잇몸염증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경우에는 점차 치아 주변의 뼈(치조골)의 흡수까지 일어나는 치주염으로 진행되게 됩니다.치주염이 중등도 이상으로 진행되게 되면 치아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잇몸 염증정도라면 주기적인 스케일링만으로 증상이 개선되며, 치주염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잇몸치료가 동반됩니다. 잇몸치료라고 해서 내려간 잇몸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은 아니며, 치주염이 더 악화되어 더욱 심한 치조골의 흡수를 예방하고 치주염이 진행되는 속도를 늦추는 데 치료의 목적이 있습니다.치주염이 심하게 진행되어 뼈의 큰 소실이 발생하고 치아가 흔들리는 경우에는 발치를 고려하게 됩니다.앞서 말했듯이, 치주염으로 인해 파괴된 조직을 되돌리는 것은 어려우며, 잇몸치료나 잇몸수술 등을 통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최선이며, 이런 치료를 하더라도 치주염이 더욱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결국 발치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Q. 금니 가격 치료 뭐가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치아의 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으므로 어떤 치료가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하지만 보철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언급한 재료들의 장단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1. 금- 치과 재료 중 가장 안정적인 재료입니다.- 금은 무른 금속으로, 씹는 작용에 의해 어느정도의 변형을 허용하여 치아 적합도가 가장 좋으며, 크라운을 위한 치아 삭제시 상대적으로 치아의 삭제량이 적습니다.- 원소주기율표에서 반응성이 낮은 원소로, 구강 내의 환경에서 각종 이온들과 반응하여 부식되는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습니다.- 금을 원료로 사용하므로 비쌉니다.- 개인에 따라 심미적으로 느낄 수도 있고 비심미적으로 느낄 수도 있습니다.2. 지르코니아- 생체친화적인 재료로 구강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강도가 뛰어나여 마모에 강합니다. 또한 치아색을 띄어 심미적입니다.기본적으로 도자기 성분이므로, 강도가 유지되기 위한 최소한의 두께가 필요합니다. 때문에 상대적으로 치아의 삭제량이 많을 수 있습니다.- 씹는 힘에 대하여 강하지만, 측방력에는 다소 약하여 깨질 수 있습니다.- 강도가 뛰어나 강한 장점이 있는 반면, 치아보다도 강도가 커서 맞물리는 치아의 마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격이 비교적 고가입니다.3. PFM (메탈 위에 포세린 파우더로 치아 색을 입힌 것- 메탈에서의 장점과 치아색을 입혀 심미적이지만, 강도가 약하여 잘 깨지고 오래 사용할 경우 잇몸이 내려가면서 안쪽이 금속이 비쳐보여 경계부가 검은 선으로 보이는 단점 등이 있습니다.- 위 재료들 중 비용이 가장 저렴합니다.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보철물을 선택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