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자꾸 손을 빨아대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가 손을 빠는 행동은 문제적 원인은 애정결핍, 욕구불만, 하루 중 안 좋은 경험으로 인해서 불안함, 스트레스, 심심하고 따분하고 무료하고 재미가 없어서, 배가 고파서 등 다양한 원인이 있겠습니다.이러한 부분의 원인이 큰 이유는 심리적 + 정신적인 안정감의 문제가 있어서 입니다.먼저 해주셔야 할 부분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의 심리적 + 정신적인 부분을 치유해 주는 것입니다.이때는 아이와 적절한 대화로 소통을 하면서 아이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마음의 안정을 시켜주면서 아이에게안정감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또한, 아이에게 손가락 빠는 행동이 왜 옳지 않은지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구요.아이가 손을 빨려고 한다면 그 즉시 아이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유도 하여 주거나, 아이와 함께 해 볼 만한 놀이로 대체를 해주거나, 아이의 손의 장난감을 쥐어주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Q. 아이가 친구와의 관계에서 상처받았을 때 자존감을 회복시키는 부모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가 친구와의 관계에서 상처를 받았다면먼저,부모님은 아이의 기분을 케치하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의 감정을 잘 다독여주는것이 먼저 입니다.그리고나서, 아이에게 친구와 어떠한 이유로 싸움이 일어났는지 그 이유와 원인을 물어봐주세요.아이가 이야기를 시작하면 아이와 친구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아이와 친구의 마음을 이해 하면서 아이가 하는 이야기를귀 기울여 경청을 해주세요.아이의 이야기가 끝나면 아이와 친구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한 후에 서는 이렇고, 후는 이렇다 라며 아이와 친구의잘못을 짚어주세요.또한, 우리 아이가 잘못된 행동이 있었다면 그 부분의 대한 반성을 하도록 한 후, 반성이 끝나면 친구에게 먼저 다가가친구에게 미안해 라고 사과를 전달 하도록 지도를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아이에게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고 먼저 다가가 사과를 하는 사람이 멋진 자세와 태도를 지닌 사람 이라는 것을 아이에게인지시켜 주면 좋을 것 같네요.그리고, 소외감을 느끼는 것은 자신의 감정과 느낌 그리고 의견을 전달하고 표현하고 제시하지 못하는 부분이 커서 입니다.아이에게 필요로 하는 것은 자신의 감정과 느낌 그리고 의견을 제시하고, 표현하고 전달하는 방법 입니다.아이와 함께 역할극을 해보면서 각 상황에 적절한 행동.언어. 제스처 그리고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표현하고,제시하는 방법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네요.
Q. 학습에 대한 자기 주도성을 키우기 위해 부모가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격려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먼저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을 우리는 자기주도학습 이라고 칭하고 있습니다.자기주도학습은 말 그대로 자기 스스로 하는 학습을 의미 하는데요.아이에게 알려 줄 것은 자기주도학습의 의미와 왜 스스로 학습을 해야만 하는가 라는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그 다음 학습설계, 학습설정, 학습목표를 세우는 방법을 알려준 후, 생활계획표를 작성하여 시간대 별로 학습 할 것들을 기록한 후, 생활계획표 대로 실천 할 수 있도록 아이의 행동을 지도 하여 주세요.그리고.아이에게 성취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은 무언가 시작을 했다면 끝까지 마무리를 짓도록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는 것입니다.또한, 아이가 스스로 학습을 잘 진행 하여 마무리를 지었다면 "우리 00 정말 잘했어" 라고 말을 전달 하면서아이를 안아주거나, 아이의 등을 토닥여주거나, 아이의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 스킨십 등으로 아이에게 칭찬 이라는 보상을 전달해 주면 좋을 것 같네요.또한, 아이에게는 부모님의 긍정의 메세지가 용기와 힘 이라는 원천이 됩니다.아이에게 "넌 할 수 있어", "지금 처럼만 하면 충분히 잘 해낼 수 있어" 라는 긍정의 말을 전달을 해준다면 아이의 자신감 및 자존감은 상승되어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