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에게 칭찬하는 올바른 방법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올바른 칭찬은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데 중요합니다. 칭찬은 구체적이고 진심이 담겨야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너 정말 똑똑해"보다는 "오늘 문제를 풀 때 집중력이 정말 좋았어"처럼 행동이나 노력을 칭찬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맞춰 칭찬하는 것이 아이의 성장과 자기주도성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칭찬은 과하지 않게, 자연스럽게 아이의 노력과 긍정적인 변화를 인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 아이가 사회적 이슈에 무관심하다면 어떻게 시민의식을 길러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아이에게 흥미를 느낄 만한 뉴스나 사회 문제를 쉽게 설명하고 일상과 연결 지어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환경 보호나 동물 복지 같은 친숙한 주제로 시작해 아이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또한, 가족과 함께 뉴스를 보고 의견을 나누며 생각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사회적 이슈에 대해 긍정적인 역할 모델을 보여주세요. 아이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지역 봉사나 환경 보호 활동을 통해 사회적 책임감과 관심을 자연스럽게 키울 수 있습니다.
Q. 아이들이 학업 스트레스로 인해 수면 문제를 겪게 될 경우는 어떻게 해결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아이들이 학업 스트레스로 인해 수면 문제가 생겼다면 먼저 스트레스 완화와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도록 하여 생체 리듬을 안정시키고, 자기 전에는 휴대폰이나 컴퓨터 사용을 줄여 수면에 방해가 되는 자극을 피하도록 합니다. 또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운동이나 취미 활동을 권장하고, 학업 부담을 나누고 목표를 조정하는 대화를 나눠보세요. 필요하다면 긴장을 풀어주는 명상이나 호흡 운동을 통해 마음을 차분히 하는 방법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 아이 호기심을 자극하고 적극적인 탐구능력을 키워주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소극적인 성향의 아이에게는 작은 성공 경험을 쌓도록 돕는 것이 좋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 천천히 적응할 기회를 주고, 부모가 옆에서 함께하며 긍정적인 피드백을 자주 해 주세요. 예를 들어, 새로운 활동을 시작할 때 아이가 관심을 가질 만한 작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면 칭찬과 격려로 자신감을 키워 줍니다. 또한, 낯선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부담스럽다면 친구나 친척과의 소규모 만남을 통해 점차 사회성을 키우는 연습을 도울 수 있습니다.
Q. 아이가 SNS에 부적절한 내용을 올려 논란이 됐다면 온라인 에티켓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아이에게 온라인에서의 행동이 현실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시키기 위해, SNS에서의 발언과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사진이나 농담이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고, 학교나 사회에서의 평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해 주세요. 긍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사용법을 가르쳐야 하며, 자기 표현은 중요하지만 타인에 대한 배려가 더 중요하다는 점을 반복적으로 말해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Q. 부모와 아이의 대화가 학업 성적에 영향을 준다는 말이 있던데 어떤 영향을 줄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부모와 아이의 대화는 학업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부모가 자주 긍정적이고 격려하는 대화를 나누면, 아이는 자신감과 동기를 느껴 학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가 아이의 학습 과정에 관심을 갖고 지원하면, 아이는 문제 해결 능력과 자기주도 학습을 기를 수 있습니다. 반면, 부정적인 대화나 과도한 압박은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주어 학업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화의 질이 중요합니다.
Q. 아이가 잘못을 했을 때 말보다는 뭔가 벌은 아니고 뭔가가 필요 할것 같은데 어떤것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아이에게 잘못을 했을 때 벌보다는 자연스러운 결과나 선택의 기회를 주는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장난감을 정리하지 않았다면, 다음에는 그 장난감을 사용할 수 없게 하거나, 책임감을 느낄 수 있는 작은 과제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대화와 함께 행동에 대한 설명을 덧붙여 아이가 잘못을 이해하고 스스로 반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해요. 아이가 잘못을 깨닫고 스스로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