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조영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영민 전문가입니다.

조영민 전문가
GA코리아
역사
역사 이미지
Q.  간도지방은 언제부터 조선이 관할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간도지역에 대한 의견은 역사학자마다 분분합니다. 다만 조선 후기에 양반들의 수탈을 피해서 온 지역이 간도지역이었고, 이후에 조선정부에서도 관리를 파견한 것이 역사적으로 우리땅으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겠지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서 기술 방법 중 기전체는 어떤 방식을 말하나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을 역사로 쓴다고 가정하고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기전체의 경우는,이순신전 이라고 하면 '이순신은 어디서 태어나고 어떻게 벼슬을 얻었으며 어느어느싸움에서 공을 세우고 노량해전에서 마침내 죽었다'권율전이라고 하면, '권율은 권씨집안의 어떻게 태어나고 과거에 급제를 하고 이항복을 사위로 삼고 행주에서 크게 이기고 어떻게 죽었다'곽재우전이라고 하면, '곽재우는 시골에서 살았는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거병을 해서 열심히 싸우고 나중에 시골로 돌아갔다'이렇게 개인의 일생을 중심으로 기록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일본 중국 발음이 비슷한경우?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우리말과 일본어가 비슷한 이유는1. 둘 다 교착어이기 때문입니다.교착어는 실질적 의미를 가진 단어와 문법적 기능을 하는 부분이 서로 접속해 문을 이룹니다. 흔히 조사가 있죠.교착어이다보니 둘 다 격조사가 발달했습니다.영어나 중국어는 다릅니다. 영어는 실질적 의미 부분과 문법적 기능 부분이 밀접해 떨어지지 않는 굴절어이며, 중국어는 어순이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주는 고립어입니다.2. SOV어순으로 어순이 같습니다.교착어인 점과 어순이 같은 점이 맞물려, 일본어를 작문하고 싶을 때 정말 편하게 작문할 수 있습니다.우리말의 어순은 그대로 두고, 우리말의 단어와 조사에 해당하는 일본어만 알면 바로 쓸 수 있게 되죠.3. 한자문화권입니다.우리나라는 이제 한자를 실제로 쓰진 않지만 한자의 영향을 받았습니다.그렇기에 한자어가 많고, 특히 음독인 한자어들은 일본과 발음이 유사한 것이 정말 많습니다.우리나라에서 무리하다의 '무리'는 일본어로 無理(むり) '무리'인 것처럼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베이글은 최초로 만든 나라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베이글은 중앙 유럽, 아마도 폴란드에서 발생되었다라고 알려져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것은 1683년 윈의 유대인 빵집에 의해 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빵집이 베이글을 폴란드 왕 얀 3세에게 헌납한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1880년 이민에 의해 뉴욕에 퍼져 20세기 후반에는 일반적인 것으로 되었습니다.베이글은 반죽을 끈모양으로 늘여, 양끝을 겹쳐 바퀴모양으로 발효시켜 데친후 오븐에 구워 만들어지는 빵인데, 이 방법에 의해 겉은 바삭하고 , 안은 부드러우면서 꽉차있는 조밀한 식감을 지니며 수분양이 적어 냉동 보관으로 한달정도 보관가능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비석에 새겨진 학생부군신위라는 말은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學生(학생)은 본래 관직이 없거나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다만 과거제도가 없는 현대에는 특별한 변형 없이 고인이 남성이라면 모두 學生(학생)으로 적습니다. 府君(부군)은 제사대상이 제주보다 윗사람일 경우 이름 대신 적는 문구로, 만일 제사 대상이 제주보다 아랫사람이라면 이름을 적습니다. 여기까지 작성한 후 마지막에 조상의 자리를 의미하는 神位(신위)를 적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왕의 딸을 공주와 옹주라고 부르는데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 왕의 아들을 대군과 군으로 구분하여 부르는 것처럼 왕의 딸도 공주와 옹주로 구분하여 불렀습니다. 차이점은 어머니의 신분입니다. 왕후로부터 태어난 아들은 대군, 딸은 공주라고 부르지만, 후궁(첩)으로부터 태어난 아들은 군, 딸은 옹주라고 불렀습니다. 따라서 정실부인인 왕후로부터 태어난 자식의 신분이 더 높을 수 밖에 없지요. 옹주나 군의 나이가 더 많다라고 해도 대군과 공주에게는 존칭을 사용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종이접기의 기원은 어디에서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종이접기의 기원이 종이의 발명과 더불어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는데, 이것을 입증할 만한 증거는 찾을 수 없다. 당시 종이는 매우 귀한 재료였으며 문자를 기록하는 본래의 용도 이외에 물건을 포장하거나 의식(儀式)의 용도로도 사용되었다. 만약 이것을 종이접기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면, 이것을 의례(儀禮) 종이접기로 분류한다. 종이접기 역사 연구가들에 의하면 종이접기는 서양과 일본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발전하다가 19세기에 서로 만나 영향을 주고받은 후 다시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고 한다. 일본의 경우 문헌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 된 종이접기의 흔적은 1680년 이하라 니시츠루가 읊은 '노제가 꾼 꿈의 나비는 오리스에'라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오리스에는 오초·메초(숫나비·암나비)라 불리는 종이접기로, 결혼식 때 사용되었다. 서양의 경우 13세기 요하네스 데 사크로보스코가 쓴 천구론(天球論)의 삽화 중 종이배와 유사한 모양이 등장한다. 18세기 일본에서는 종이학이나 얏코산같은 전승종이접기가 등장하여 풍속화나 기모노에 삽입되었고, 19세기 유럽에서 기사나 말의 종이접기가 접혀진 것이 아직까지 남아있다. 19세기 중순 독일의 프리드리히 프뢰벨(Friedrich Froebel)은 그의 교육법인 가베(GABE)의 제 15작업으로 종이접기를 채택하였다. 이것이 일본의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에 받아들여지면서 동서양의 전승종이접기가 하나로 융합되어 다시 전 세계로 퍼저나가게 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후추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때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에는 1389년(공양왕 1)에 유구(琉球)의 사신이 후추 300근을 가져왔다는 기록이 나옵니다. 이것으로 미루어 고려 말에는 중국에서뿐만 아니라 남방에서도 직접 후추가 도입되었던 것으로 추측됩니다. 후추는 수입품이었기에 매우 귀중한 물품으로 취급되었죠~『징비록(懲毖錄)』에 수록된 후추의 일화를 보더라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후추를 선호하였고 귀중히 여겼는지 알 수 있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비너스 조각상의 팔은 왜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비너스는 양쪽 팔이 없습니다.제작 당시에는 팔이 있던 것으로 추측합니다만발굴당시에 잘려졌다는 설과땅에 묻힐 당시 부러젔다는 설 등팔자세는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의 자세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즉 한팔은 아래 치마선을 잡는 자세이고한팔은 구부려 무엇인가를 쥐고 있었는 자세일거란 추측이지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계2차 대전 이후 이탈리아도 전범국가로서 사과를 했나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마지막까지 저항했던 독일이나 일본과는 달리 43년 말에 빠르게 항복했고 무솔리니도 이탈리아 국민들이 직접 끌어내렸거든요 덕분에 완전한 패전국 취급을 받지 않고 센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서 특별상태국으로 분류되었습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