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조영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영민 전문가입니다.

조영민 전문가
GA코리아
역사
역사 이미지
Q.  헤밍웨이의 대표작은 무엇이고 작품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헤밍웨이의 대표작은 무기여 잘있거라- 킬리만자로의 눈-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노인과 바다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노인과 바다가 가장 대표작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의 작품들이 헤밍웨이의 삶 자체가 늘 모험이었고 도전이었으며 필사적으로 몸부림쳐낸 인생이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수많은 글을 쓰고, 수많은 책을 읽고, 수많은 사고- 전쟁사고, 교통사고를 당하고 죽을만큼 위험한 스포츠-바다낚시, 아프리카 사파리 사냥, 권투, 투우 등을 하고, 수많은 병을 앓고, 수많은 여행과 이사, 수많은 연애 등을 한 그를 보면,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진 이 삶을 참 열정적으로 멋지게 살았다 존경스러운 마음이 듭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이 유네스코 문화재로 등재시키려는 '군함도'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군함도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2015년 7월 5일 독일 본 월드컨퍼런스센터에서 개최된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의에서 일본이 신청한 ‘메이지 산업혁명유산: 철강, 조선, 탄광’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최종 등재됐습니다. 그러나 이 유산에는 조선인 5만 7900여 명이 강제 동원됐던 하시마탄광. 나가사키 조선소 등 7개 시설이 포함되어 있어 논란이 됐습니다.당시 일본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앞두고 군함도와 관련된 역사를 왜곡하고 산업혁명의 상징성만을 부각시켜 홍보해 우리 국민의 거센 공분을 샀습니다. 이에 유네스코의 자문기관이 시설의 전체 역사를 알 수 있도록 하라고 일본에 권고했지만, 일본 측은 권고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논란은 계속되고 있는 실정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섬나라 일본인들을 우리조상들은 왜놈이라고 부른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왜'는 일본을 가르키는 한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제시대 때 일본사람으로 인하여 많은 고통을 받았던 우리나라 사람들은'왜'에 우리나라의 비속어인 '놈'을 붙여서 일본사람들을 '왜놈'이라고 불렀습니다.그 밖에도 '왜'라는 글자가 일본을 가르키는 경우는 많습니다. 13∼16세기에 걸쳐 한국과 중국의 연안에 수시로 침입하여 인명을 해치고 재산을 약탈하던 일본의 해적집단을 '왜구'라고 하였고 조선시대 일본인의 입국 및 교역을 위하여 설치하였던 장소로, 사관(使館) 및 상관(商館)의 기능을 담당하던 곳을 '왜관'이라고 불렀습니다.또 1510년 3포에서 일어난 일본인 거류민의 폭동사건을 '삼포왜란'이라고 합니다. 그 밖에 '왜'가 일본을 가르키는 경우는 많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홍차가 블랙티더라고요. 홍차는 왜 영어로 블랙티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동양에서는 결과를 서양에서는 원인에 초점을 두어 이름이 정해졌다고 합니다. 홍차는 차색갈이 붉어 동양에서는 홍차라 하고 서양에서는 홍차의 원료가 black 색깔이라 black tea라고 합니다. 동양과 서양의 사고의 방식이 다른 것입니다. 동양에는 인문학이 서양은 과학이 발달하였나 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 후기 중상주의 실학이 어떤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중농학파는 토지개혁과 농민생활의 안정을 주장하면서 조세, 군사 군현제 등을 합리적으로 개혁하고 또한 양반들의 특권과 신분차별의 불합리에 입각한 각종 폐단들을 제거할 것을 주장했던 학파입니다.중상학파는 농업에만 치우치던 중농학파의 이상 국가론에서 탈피하여 상공업의 발달을 중시 여기며상공업의 발전이 곧 부국강병의 지름길이라 여겨 상공업에 대해 적극적인 방안을 제시한 학파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테헤란로가 이란과 어떤 관계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이란은 과거 독일에서 '아리안인의 국가'란 명칭으로 왕국 시절 이란에게 국명을 지어준 것이이어진 것이고 테헤란은 이란의 수도명입니다.그리고 1979년 1월 이슬람 이란 혁명 이전 시점의 팔레비 이란 왕조가 친미/친서구 독재왕조였는데이 시기에 우리나라가 이란과 교류를 맺으면서 서울 강남에는 이란의 수도인 '테헤란'의 명칭을 따서 '테헤란'로로 명명된 것이기에이란의 현재 수도명을 붙인 겁니다. 그리고 이 시기에 테헤란에서는 반대로 '서울 공원'이라고 한글 팻말이 있는 공원을 지어 현재도존재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성계가 위화도회군을 안했다면 어떻게 됐을까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당시의 상황으로 이성계가 위화도회군을 하지 않을 근거는 희박할 정도로 상황은 좋지 않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가정은 언제나 해볼 수 있기에 당시의 상황을 전제로 위화도회군을 하지 않고 계속 전쟁을 벌였다면 참혹한 결과가 이어지지 않았을까하는 추측이 있습니다. 물론 기습전으로 요동성을 함락했다하더라도 장마철이 끝나고 가을이 왔을때는 버티기가 힘들었을것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터키가 튀르키에로 국호를 바꾼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Turkey 라는 말이 영어로 칠면조 이지만 속어로 겁쟁이 실패자 등으로 쓰이고 있기 때문입니다.그런데 지금 시기에 바꾼 이유는? 사실은 몇년전부터 계속해서 UN에 변경신청을 해왔는데요, 번번히 사장됐습니다 그 이유는 터키가 변경하고 싶어하는 새로운 국호가 TÜRKİYE 인데요, 일반 라틴계열 문자에서는 없는 알파벳인 Ü 와 İ 가 포함되기 때문이죠. 그로 인해 수입 수출 및 각종 국제관계와 대외활동에서 표기 및 발음에 있어서 큰 혼란이 있을 것이라는 이유였습니다.​그런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터키의 국호변경이 급물살을 타게 됩니다. 그 이유는 kiev 즉 우크라이나의 수도인 kiev 를 전세계 언론들이 키예프로 발음하자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UN에 '키예프'는 러시아식 발음이다, 우크라이나식 발음인 '키이우'로 변경해주길 원한다 라고 요청을 한 것입니다.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관련해서 서방진영에서는 돈드는 일이 아니거나 병력 혹은 무기 지원이 아니라면 흔쾌히 우크라이나 편을 들어주고 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가 발음 변경요청을 하고 곧바로 승인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터키도 더욱 강력하게 요청을 한 것이이구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바둑대회는 한중일만 하는 대회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바둑이 한중일이 중심인 것은 맞지만 한중일만 두지는 않습니다. 물론 바둑은 동양문화라는 인식이 있긴합니다만 유럽이나 미국에도 바둑을 가르치는 교육시설이 있구요, 유럽 각국에도 프로기사가 있습니다. 한중일 이 세나라가 실력이 제일 쎄기 때문에 한중일만 바둑을 둔다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습니다. 대만 홍콩 베트남 등에도 바둑기사가 있구요 오스트레일리아 러시아 등 각국에 프로기사가 있습니다.바둑은 나라마다 다른 문화로 성장했기 때문에 한중일의 규칙이 다 같지는 않습니다. 계가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결론적으로 어떤 두뇌스포츠든 그것을 법을로 제정하지 않은 이상 몇몇 나라만 즐기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여건이 안될수는 있지만.. 장기도 아시아 전국에서 두고요 유럽 몇몇나라는 모르기 때문에 극소수만 할것으로 생각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왜 윗사람에게 수고하셨습니다 라는 말을 쓰면 안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조영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표준 화법 해설”(국립국어원(1992)) ‘일상생활에서의 인사말’을 참고하면, ‘수고하셨습니다.(수고했네.)./수고하십시오.(수고하게.)’라는 표현이 윗사람에게는 적절하지 않고, 동년배나 아랫사람에게는 쓸 수 있다고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동년배나 아랫사람에게 쓸 수 있는 말은 제시돼 있으나, 윗사람에게 ‘수고’와 관련된 의미를 포함하는 표현을 써야 할 상황에서 어떠한 표현을 써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습니다.그러나 ‘고생하셨습니다.’의 경우 ‘어렵고 고된 일을 겪음. 또는 그런 일이나 생활.’을 뜻하는 ‘고생’도 ‘수고’와 마찬가지 의미이므로 윗사람에게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고통을 받는다.’의 뜻을 가진 ‘受苦’에서 온 말인 ‘수고’의 어원적인 면을 고려하여 이 단어를 제외하고, ‘노고’ 또는 ‘마음과 힘을 다하여 무엇을 이루려고 힘쓰다.’의 뜻으로 쓰이는 ‘애쓰다’를 써서 “노고가 많으셨습니다.”, “애쓰셨습니다.”라는 인사말을 쓸 수 있습니다. 업무를 마치고 아랫사람이 먼저 퇴근 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안녕히 계십시오.”란 표현도 적절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