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관세가 15%로 타결이 되어도, 결론적으로는 관세가 올라가고, 전체적인 회사의 수익률은 주는것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관세가 15%로 타결되더라도 기업의 수익성에는 부담이 남습니다. 관세가 오르면 제품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어 매출과 이익률이 감소하고, 실제로 일부 기업은 관세 부담으로 수익이 줄었습니다. 시장에서는 관세 인상이 반복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크며, 이런 구조적 비용 증가는 주가에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해, 주식시장에서 해당 업종이나 기업의 주가는 중장기적으로 우하향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Q. 우리나라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3천 500백억 펀드를 조성한다고 하는데요 그럴경우 우리나라 산업의 영향은?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따라 1,500억달러가 조선 산업에 투자되면, 한국 조선사는 미국 현지 조선서 인수 및 신설, 기술이전, 인력양성 등에 적극 진출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한국 조선업의 수주 확대와 고부가가치 선박 중심으 수익성을 강화할 수 있고, 미국 시장 내 경쟁력을 제고하며, 글로벌 공급망 지배력을 확대하는 등 실질적 성장 동력을 얻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국내 조선 빅3는 안정적 대형 프로젝트 확보로 중장기 성장 기반을 한층 강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