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투자를 위해서 기업 분석 할 때 지금 돈을 잘 벌고 있느냐의 여부가 중요하다고 하던데 바이오 관련 기업들은 다들 적자인데 왜 그런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상장된 바이오 기업 중 적자인 기업이 많고, 적자임에도 몇십배의 벨류에이션을 받는 이유는 바이오 산업의 특성 때문에 그렇습니다. 당장 시제품으로 매출을 일으키는 회사들도 있지만, 많은 회사들은 제품 개발을 하고 있고, 이는 당장은 이익을 창출할 수 없으나, 개발에 성공하고, 시제품으로 시장에 나온다면 큰 이익을 창출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자임에도 고평가 받는 것 입니다.
Q. 경제사이클 순서 상, 경기침체는 반드시 올 수 밖에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금리인상은 경제주체들에게 부담을 주는 요소 입니다. 이자비용이 상승하게 된다면 각 가계는 가처분소득이 하락하기 때문에 소비가 위축될 것이고, 기업들 또한 이자비용 증가로 인한 이익 감소와 투자 감소등으로 이어지면서 경기는 위축되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그리고 금리정책과 같은 통화정책은 경기 상황을 보고 후행적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기침체가 온 뒤에 금리인하, 양적완화 등을 통해서 경기를 부양하고자 합니다. 다만 이러한 경기 사이클은 이론적이며, 일반적이기 때문에 미래에도 반드시 반복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Q. 금리가 왜 올라가는지 궁금하고 금리가 오르면 이득보는 사람들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가 상승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환율을 안정시키는 등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을 안정화 하기 위해서 중앙은행들은 금리인상을 실시 합니다. 금리 인상은 일반적으로 저축을 증가시키고,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켜서 경기 전반적으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다만 대출이자 상승을 통해서 은행들은 수입이 증가하기도 하며, 예금에 많은 많은 돈을 예치하고 있는 사람들은 이자수익이 증가하는 등의 이득을 누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