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상한가 하한가 제도는 어떻게 변화가 될까요?
미국 주식은 상하한가 제도가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계속해서 변해왔고요.
질문은 두 가지입니다.
상한가 하한가가 예전엔 어땠나요? 년도별로 상하한가의 변화. 예전에 4% 6% 12% 15%이런식인걸로 알고있는데, 언제 몇퍼센트였는지.
그리고 앞으로 상하한가 제도가 얼마나 더 크게 바뀔지에 대해서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확한 일자는 알 수 없지만 대략 상하한가의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1995년 4월 : 상한가 + 6%, 하한가 -6%
1998년에는 상한가와 하한가 5% (이유: 1997년 IMF 이후 변동성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이후 15% 변동)
2000년부터 : 상한가 + 15%로, 하한가 - 15%
2015년 6월 : 상한가 +30%, 하한가 -30% 현재까지 적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자본시장이 성장하면서 향후에는 현재의 상하한가 폭 30%에서 앞으로는 상하한가 제도가 유럽이나 미국처럼 사라지게 될 가능성도 존재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우리나라 가격제한폭 제도는 다음과 같이 변화되어 왔습니다.
1995년에는 6%의 가격제한폭
1996년에는 8%
1998년 3월에는 12%
1998년 12월에는 15%
2015년 6월에 지금의 가격제한폭인 30% 확대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하하간제도와 같은 경우 채택하는 나라가 있고
채택하지 않는 나라가 있으며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당분간은 이 제도를 유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직전에는 상하한가의 폭은 15% 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식 시장은 +,- 30% 를 상하한가로 제한 하고 있는데 이것은 2015년도에 정해 진 것이고 그전에는 15% 였습니다. 추세를 보면 우리 주식 시장도 점점 상한가 제도의 비율이 점점 늘어 나는 추세이고 아마 곧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상, 하한가에 대한 제한을 없애지 않을 까 생각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하한가 기준은 아무래도 규제가 있어야 서민보호가 되는거라 아무래도 현재기준으로 지속될것 같습니다ㅡ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주식은 변동이 없고, 상장주식의 경우만 시초가 60%~400%로 변동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상하한가 제도는 1995년 도입되어 6%~12%으로 순차적으로 확대되디가 1998년부터는 계속 15%의 가격제한폭으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2015년 6월 15일부터 이를 완화하여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앞으로도 유지될 것으류 전망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5프로로 바뀐게 98년입니다 15프로 이하는 90년대구요 30프로로 바뀐게2015년이구요 결국 미래엔 미국처럼 상하한가 제한이 없는 구조로 갈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