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국판 M7으로 불리는 테라픽10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중국기술기업을 묶은 테라픽 10 기업으로는텐센트(IT공룡), 알리바바(AI 분야의 리더), 바이두(자율주행에 강점), 메이퇀(라이프스타일 서비스 플랫폼), 샤오미(스마포튼 제조 글로벌 기업), 비야디(전기차 배터리 분야의 세계적 기업), 징둥(전자상거래기업), 넷이즈(게임, 온라인 교육서비스), SMIC(중국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PDD홀딩스(소셜 커머스 플랫폼)를 말합니다.
Q. 우리나라에서 나라에서 운영하는 은행에는 어떤 은행들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정부운영 은행으로는 한국은행,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중소기업은행이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중앙은행으로 원화의 발권, 정부의 국고금 예수기관(세금등 국고금 관리, 정부자금지원)의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여 정부가 직접 운영하기 보다 국가 경제의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기관입니다. 산업은행도 정부가 설립한 특수은행이며 산업 개발과 대규모 프로젝트 자금지원을 목적으로 정부 100% 출자 국책은행입니다. 수출입은행도 수출입은행법에 따라 설립된 은행으로 수출입 및 해외 투자를 지원하기 위한 국책은행입니다. 정부가 자본금을 출자하며 수출기업의 자금조달과 국제 협력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중고기업은행은 중소기업의 금융지원을 목적으로 정부가 설립한 특수은행입니다 최대주주가 정부입니다.
Q. 분할 상장을 하는 것이 기업에게 유리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분할상장은 사업별 가치를 극대화하고 자금조달이 용이하면 경영효율성이 향상된다는 점이 있습니다. 예로 sk하아닉스가 분사후 반도체 집중으로 가치가 상승한 케이스가 있습니다.다만 운영비용이 증가하고 모회사와 자회사간의 경쟁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비효율적인 상황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럼에서 우리나라에 분할상장이 많은 이유는?재벌의 오너 중심의 지배력 강화를 위해 분할 상장을 활용하고 있고, 정부의 정책(구조조정지원으로 분할을 장려하고 있고 세제 혜택있음) 대기업 중심의 분할계열사 확장이라는 기업생태계(기업관행)이 있기 때문입니다. 즉 재벌체저, 정책, 시장구조가 분할상장을 선호하게 만들었고 이는 대기업의 성장 잔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Q.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유상증자를 진행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한화에서로스페이스가 3.6조원의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하는 것은 방산, 조선, 우주항공 분양에서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장기적으로 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한 자금조달로 보입니다.이는 2035년까지 매출 70조원, 영업이익 10조원을 달성하여 글로벌 톱티어 방산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이 담겨 있습니다. 러-우전쟁, 유럽의 자주국방 움직임, 미국 조선업 강화정책등을 고려해 지금이 투자 적기로 판단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보이며 다만 신주발행으로 기존 주주 지분희석과 주가하락우려로 시간외 하한가를 기록한듯합니다.
Q. 개별종목 선물 동향은 어떻게 볼수있나요? (HTS)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키움의 영웅문을 기준으로 보면 HTS 파생상품 메뉴로 클릭하고 상단의 파생상품, 선물/옵션 탭 클릭개별종목 선물 조회시 : 종목조회 또는 선물종목 리스트 메뉴로 이동(화면번호 예 0811)여기서 지수선물, 개별주식선물 이 구분되어 나옵니다. 개별주식선물 탭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종목 리스트가 나오면 예를 들어 삼성전자 선물, 현대차 선물 같은 식으로 표시됩됩니다.간단히. 키움에서 F로 시작하는 종목코드를 검색하면 선물 종목이 바로 나옵니다. 예 --> 삼성전자 선물 = F005930
Q. 공매도가 재개되면, 가장 타격이 큰 종목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공매도는 일반적으로 고평가(벨류에이션 부담), 신용융자 잔고비율은 높은 종목, 변동성이 큰 종목을 타깃으로 삼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공매도가 재개되면 에코프로계열, HLB, 엔켐, HMM 등 고평가 되거나 개인 신용비율이 높은 종목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시장 전체의 충격은 크지 않을 수 있으니, 공시와 수급변화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