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동일한 업종의 기업 중에 투자할 때 어떤 지표를 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동일한 업조내 기업에 대한 투자시 고려할 주요지표 로는 PER, PBR, ROE, 부채비율 영업이익률, 배당수익률을 업종 평균과 비교하는 것이며 기업의 성장성과 재무건전성을 균형 있게 확인하는 것입니다. 특정 지표 하나만 보지말고,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ER= 주기수익비율로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값으로 낮을수록 저평가된 가능성이 높습니다. PBR= 주가순자산비율로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1미만이면 자산 대비 저평가 종목으로 봅니다. ROE=자기자본이익률로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높을 수록 자본 효율이 좋음을 의미합니다. 업종 내 안정적이고 높은 ROE를 가진 기업이 우수합니다.
Q. 차트만 보고 투자하는 것은 너무 위험하죠?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네 그렇습니다. 차트만의 투자는 성공확률이 낮고 변동성에 취약합니다. 유트브에서 보여주는 차트매매는 종종 극적인 사례일뿐, 실제로는 균형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 현실적으로 성공 가능성을 높이려면 차트 분석을 보조 도구로 사용하고, 기업의 재무제표, 산업동향, 거시경제 상황등 기본적 분석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Q. 급등하고 있는 주식이 더 오를지 떨어질지 판단할 때어떤 방법을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주가의 상승과 하락을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그래도 다음과 같은 방법을 예측하고자 합니다. 기술적분석으로 RSI, 볼린저 밴드등을 보고 매수매도의 과열 여부를 확인합니다. 기본적 분석으로 기업가치, 고평가 여부를 점검합니다.뉴스와 시장심리로 급등 원인과 지속성을 평가합니다 거래량으로 추세강도를 파악합니다. 급등중 거래량이 늘어나면 승승지속, 반대로 거래량감소시 추세 약화로 하락 가능급등주는 변동성이 심합니다. 기술적+기본적 분석을 조합해 판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Q.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3000천선을 회복했는데요 어떤 섹터가 많이 올랐는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주요 상승견인 섹터는1) 반도체의 SK하이닉스2) IT 인터넷의 네이버, 카카오,3) 이차전지로 LG 에너지 솔루션, 삼성SDI, 포스코퓨처엠4) 화장품주로 아모레퍼시픽, LG 생활건강5) 그리고 기타 중공업, 금융, K-POP 관련주가 많이 올랐습니다.
Q. 스테이블 코인에는 주로 어떤 코인들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은 테더로 USDT가 있고 USDC, DAI, TUSD, PYUSD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달러에 연동되거나 탈중앙화 방식으로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USDT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테이블코인으로 1USDT= $1 로 고정거래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유동성이 높습니다. 다만 테더사의 담보 투명성 논란이 있지만 시가총액 1위의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USD코인(USDC)는 서클과 코인베이스가 발행하는 스테이블 코인으로 1USDC = $1 로 고정엄격한 규제 준수와 월간 감사로 신뢰도가 높고 미국 단기국채를 포함한 현금성 자산으로 담보, 투명성을 강조 하고 있습니다. 디파이 플랫폼과 결제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참고로 요즘 서클의 상장돼 주가가 엄청 오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