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란의 여성들이 다시 히잡을 쓰게 된 배경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7세기 아라비아에 이슬람이 생겨나기 이전부터 히잡을 착용하는 관습은 존재해왔습니다. 남성들도 뜨거운 햇볕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얼굴을 덮는 두건을 착용하기도 했죠. 환경과 기후에서 기인한 문화적 요인으로 히잡은 이미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으나, 구체적으로 여성의 히잡 착용을 의무화 한 것은 꾸란의 기록입니다. 히잡이 마치 이슬람권 여성의 상징처럼 알려져 이슬람 국가에 가면 여성들은 모두 히잡을 뒤집어 쓰고 다니는 걸로 오해하는데, 종교적 신앙의 정도와 보수/개방의 정도에 따라 개인차가 크답니다. 얼굴만 살짝 가리거나, 아예 쓰지 않는 사람도 있고, 온 몸을 가리는 사람도 있죠. 이슬람-아랍 지역 내에서도 지역별 차이가 큰데, 국가마다 이슬람 법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보통 집 밖에 나갈때 착용해야 하며 앞서 말한것 처럼 자기 가치관에 따라 사회적으로나 법적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착용정도나 착용여부가 조정됩니다. 모든 이슬람 국가에서 모든 여성이 흔히들 비추어지는 것처럼 억압받고, 기본적 인권의 보호를 받지 못하며, 평등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
Q. 최초의 올림픽은 어디서 시작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최초의 올림픽이 열린 기원전(B.C.) 776년 당시엔 4년마다 열렸던 올림피아의 올림피아경기, 델피의 피티아(Phthia)경기, 2년마다 열렸던 아르골리스의 네미아(Nemia)경기, 코린트의 이스트미아(Isthmia)경기가 그리스의 4대 제전경기였습니다. 저희가 잘아는 근대올림픽은 바로 고대올림픽의 부활을 뜻합니다. 그런데 왜 ‘올림픽’일까? 이는 올림픽 발상지인 고대 그리스에 이것 말고도 다른 운동축제들이 있었으며, 이 중 올림픽이 채택돼 근대에 모습을 드러냈기 때문입니다.또한, 1896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제1회 올림픽이 열리기 전 그리스 아테네에서 비록 국내대회이지만 올림픽이 3차례 열렸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게다가 영국에서도 역시 국내대회로 올림픽이 한 차례 열리기도 하였습니다. 참고하셔서 도움되시길 바래요 ^^
Q. 우주에서 음악(악기)을 연주하면 소리가 들리나요?
안녕하세요. 소리는 우리가 말을 하거나 또는 소음등의 경우가 있겠죠.우리가 말을 할때에는 (입) - (진동) - (공기의진동) - (귀) 이 과정인데, 입 다음의 진동은 공기가 없더라도 소리는 안나지만, 진동은 일어나기 때문에 추가 시킨겁니다.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우주는 공기가 없는 진공상태 인데,진공상태에서는 어떠한것도 들을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악기 서리도 들을 수 없으며 예외가 있다면, 진동을 전기신호를 바꿔주는 '무전기'로는 들을 수 인지 않나 생각이 드네요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Q. 그림 가격은 어디서 정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전문 분야가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글을 찾다가 가장 맞는 답변이라 생각되어 아래와 같이 추가로 정리해서 전달 드려요 참고 바라며,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그림을 사고 판다는게, 커미션과 외주 두가지가 있습니다. 둘을 구분하는게 그림 거래에 정말정말 중요하고 제발 잘 숙지하셔야 합니다. 커미션은 그림계 내에서 개인 대 개인의 그림, 음악, 캘리그래피 등 사적 거래를 의미합니다. 외주는 회사 대 개인 혹은 개인 대 개인 간의 거래인데, 이 둘의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저작권이에요. 저작자가 저작권을 의뢰자에게 양도하느냐 마냐입니다.저작권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양도할 수 있는 저작권이 있고 양도 할 수 없는 저작권이 있어요.'상업적 용도로 사용하여 이윤을 추구'할 때 쓰이는 그림의 저작권이 양도 가능한 저작권 중 하나입니다.이게 가격책정과 연결이 됩니다.>커미션은 상업적 사용이 불허되며, 개인소장만 가능하고 대신 가격이 외주에 비해 한없이 쌉니다.정말 싸고 퀄리티가 낮으면 5천원까지 내려가죠. (개인적으로 그 이하의 가격의 그림은 차라리 안하는게 낫다 봅니다.)어느정도의 퀄리티가 나오면 전신 풀채색 기준 싸면 2.0(2만원을 말해요)~조금 가격대 올라가면6.0정도.퀄리티 높은 그림은 10.0(10만원) 이상 올라갑니다신청인에게 그림이 상업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며(ex-유튜브도 이윤창출 수단이므로 유튜브의 프로필 사진도 상업적 이용에 해당) 개인소장만 가능하고 명시해두세요.보통 커미션은 개인적으로 이런이런 그림이 보고싶다!할 때 신청합니다.>>지금까지 커미션 얘기 한겁니다.>외주는 그림의 상업적 사용이 허가되며, 커미션과 비교할수도없이 가격이 몇십배는 뜁니다. 절대 손해보시지 마세요. 안그러시겠만 예를들어 님이 '아뭐 싸게 줘도 저사람 이윤창출하던말던 알아서하셈;' 이러시면 외주시장 전체의 문제가 됩니다.님의 그림 퀄리티 수준을 잘 모르겠다 싶으면 트위터를 참고하세요. 거기에 커미션 거래글이 많습니다. 그리고 커미션 가격 너무 낮게 책정하지말아요. 조금 낮은 가격은 경쟁력이 되나, 심하면 전체에게 타격이 됩니다.(님의 경우는 살 사람이 정해져있고 불특정 다수에게 커미션 글을 올리는게 아니니 상관 없을지도 모르지만요.) 잘 모르는 초등학생들의 낮은 커미션 가격은 참고하지 말아주세요. 퀄리티 높은 그림 위주로 참고 바랍니다트위터가 아니더라도 커미션 거래 사이트가 따로 있는것을 본적이 있어요. 참고해보신다면 도움이 되실듯 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