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강대선 전문가
현대중공업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월 28일 작성 됨
Q.
외국에도 떄를 미는 문화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목욕탕에서 몸을 뿔린 후 때수건으로 때를 미는 문회는 한군 뿐이라고 합니다. 외국에 경우 피부의 노폐물을 말끔하게 씻어주는 바디워시 제품이 있다고 합니다. 해외에서는 때수건을 사용해서 때를 미는 대신 바디워시 제품을 쓴다고 하네요. 참고하시기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 드려요 ^^ 좋은 하루 되세요 ^^
역사
2023년 1월 28일 작성 됨
Q.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다양한 관점에서 답변들이 가능할거 같습니다. 기록적인 관점인지 의사전달을 위한 관점인지요 ^^ 개인적으로 인류 시작부터 함께한 바디랭기지가 가장 오래되고 본능적으로 창조란 의사전달의 언어가 아닌가 생각하게 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 드려요 ^^ 좋은 하루 되세요^^
역사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소설 삼국지에서 결국 천하통일은 어느나라가하나요?
안녕하세요. 진나라의 사마염이 통일 했습니다. 진나라는 위나라 왕한테 사마염이 나라를 이어받았는데요. '훌륭한 신하에게 나라를 맡긴다.'라고 남기죠. 하지만, 사마염은 국호를 진나라로 바꾸고 자신의 나라로 바꾸어 버렸죠. 그 때에는 촉나라는 멸망했었고, 결국 진나라의 사마염이 오나라를 멸망 시키고 천하통일을 이루었습니다.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
역사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소울푸드라는 말이 있는데 어디서 유래됐나요?
안녕하세요. 소울+명사를 붙여서 들어보신적 있으신가요? 개인적인 사견으로는 소울메이트라는 드라마등 언론매체를 통해 처음 들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후에 소울푸드며 정말 마음이 통하며 애착이 가는 영혼에 단짝이란 의미로 사람들이 알게 모르게 합성어로 많이 쓰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 행복한 하루 되세요~
역사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서양에선 왜 집안에서 신발을 신을까요?
안녕하세요. 집에서 신발을 신고 생활하는 방식은 주거문화의 차이 때문입니다. 한국의 주택 즉 한옥의 경우 세계에서 유래가 없는 독특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바로 온돌입니다 온돌의 경우 구둘을 설치하고 위에 흙으로 방바닥을 만드는데요 서양의 침대와는 달리 바닥자체가 난방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로 바닥위에 이부자리를 펼치고 자는 문화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이런 경우 만약 신발을 신고 방에까지 들어간다면 곤란한 점이 많이 생기기 때문에 방에는 신을 벗고 들어가는 문화가 생기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이러한 온돌이라는 난방시설이 없이 벽난로 등을 이용하는 서구권과 중국 등은 바닥이 차갑기 때문에 바닥의 냉기를 막기 위해 침대 같은 시설을 이용하면서 방바닥 문화대신 슬리퍼나 카페트 문화가 발달하게 되었죠.한마디로 요약하면 주거문화의 발전형태의 차이로 서양에서는 신발을 신고 생활하는 문화 차이가 발생된 것이라고 쉽게 생각하시면 될듯 하네요. ^^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립니다.
역사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장례문화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장례문화의 시초라고 시작된 시기는 고대에서부터 입니다. 그증거로 어릴적부터 많이 듣고 교육받았던 고인돌이 그 증거라고 볼수 잇습니다. 요즘 같은 제례형태의 장례는 남은 기록으로 인하면 고대 전국시대 입니다. 주자라는 중국의 고대선인이 사마씨의 집안에서 행하엿던 각종 행사를 기록하엿는것이 "주자가례" 입니다. 그 주자가례가 모든 가법과 예법의 시초가 되어서 발전과 보완을 거듭 하엿습니다 .따라서, 장례문화의 시초는 전국시대라고 볼수도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립니다. ^^ 행복한 하루 및 주말 보내세요~
역사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천연기념물은 어떤 기관이 지정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천연기념물 , 국보, 보물은 문화재청에서 결정하게 됩니다. 참고로 과정이 까다로워서 무작정 되는 건 아닙니다. 자세한 기준은 아래 법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1.05.18 개정)제23조(보물 및 국보의 지정) ① 문화재청장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을 보물로 지정할 수 있다.② 문화재청장은 제1항의 보물에 해당하는 문화재 중 인류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그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보로 지정할 수 있다.③ 제1항과 제2항에 따른 보물과 국보의 지정기준과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2021.11.09 개정)제11조(국가지정문화재의 지정기준 및 절차) ① 법 제23조에 따른 국보와 보물, 법 제25조에 따른 사적, 명승 또는 천연기념물 및 법 제26조에 따른 국가민속문화재의 지정기준은 별표 1의2와 같다. ② 문화재청장은 제1항에 따라 해당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하려면 문화재위원회의 해당 분야 문화재위원이나 전문위원 등 관계 전문가 3명 이상에게 해당 문화재에 대한 조사를 요청하여야 한다. ③ 제2항에 따라 조사 요청을 받은 사람은 조사를 한 후 조사보고서를 작성하여 문화재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④ 문화재청장은 제3항에 따른 조사보고서를 검토하여 해당 문화재가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면 문화재위원회의 심의 전에 그 심의할 내용을 관보에 30일 이상 예고하여야 한다.⑤ 문화재청장은 제4항에 따른 예고가 끝난 날부터 6개월 안에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⑥ 문화재청장은 이해관계자의 이의제기 등 부득이한 사유로 6개월 안에 제5항에 따라 지정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에 그 지정 여부를 다시 결정할 필요가 있으면 제4항에 따른 예고 및 제5항에 따른 지정 절차를 다시 거쳐야 한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 행복한 하루되세요~
역사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미운아이 떡하나 더준다는 속담의 본뜻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 속담은 '아이' 대신에 '놈'으로 바꾸어 말하기도 하고, '미운 사람에게는 쫓아가 인사한다'라는 속담과도 동일한 의미를 지닙니다. 이것은 미운 사람일수록 잘해 주고 감정을 쌓지 않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미운 놈'은 미워한다는 것이 알려지면 뒤에 화를 입을 수 있어서 마지못해 떡 하나를 더 준다는 의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와 추천 부탁드려요` ^^
역사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최초의 E메일은 언제 나왔나요?
안녕하세요. 이메일을 처음으로 만든 사람은 레이 톰린슨입니다. 레이 톰린슨 인터뷰에서 자신에게 보낸 최초의 이메일은 1971년 두 컴퓨터 사이에서 이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최초의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이듬해에 최초의 이메일을 보냈다고 합니다. 참고로 톰린슨은 왜 @ 기호를 택했느냐는 질문에 대해 "사람 이름에 사용되지 않아.. 혼동을 일으킬 여지가 없는 기호를 키보드에서 찾은 결과"라고 답했다고 하네요.참고하시기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려요~ ^^ 행복한 하루 되세요~
음악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트로트 붐 현상 언제가 시작인가요?
안녕하세요.개인적인 사견으로는 장윤정님께서 어머나로 어느정도 트로트에 대한 인식을 바꾸며 대중화에 기여한 이후에 TV조선에 미스트롯이 말그대로 초대박을 치며 전국에 트롯열풍을 불러일이키지 않았나 판단됩니다. 이후에 연이은 미스터트롯까지 그야말로 초대박 시청률 및 세간에 이목을 집중시켜 대한민국을 트롯열풍으로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듯 싶습니다. 기존에 박상철 및 여러 유명한 트롯가수분들에 노래들이 당연이 있었지만 젊은 사람들까지 트롯은 나이든 사람들에 전유물처럼 여긴게 사실었구요. 하지만 지금은 어떤가요? 미스터트롯2 , 불타는트롯등 다양한 트롯 예능들이 방송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제는 남녀노소 트롯자체가 나이많은 사람들에 전유물이 아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것으로 인식이 많이 바뀐듯 합니다. 상기와 같이 대중화에 기여한 것은 당연히 미스트롯등 경연대회를 모티므로한 프로그램들이 성공했기에 가능한 내용이라고 판단되네요. 도움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려요~ ^^ 좋은 하루 되세요~
461
462
463
464
4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