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4년 4월 16일 작성 됨
Q.
둘리는 왜 나쁜 말버릇 때문에 불량만화로 등록이 되자 공감받지 못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 시대에 만화가는 조선 시대로 치면 야한 그림을 그리는 화가 정도로 취급 받았습니다. 만화는 일종의 불량문화로 취급받았습니다. 때가 되면 검찰과 경찰이 합동단속을 ‘떠서’ 만화가게를 무작위로 뒤지고 종로 한복판에서 화형식을 했을 정도로 그 심의는 까다로운 정도가 아니라 아예 말이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어린 아이는 고운 말을 써야 한다며 ‘도둑놈 잡아라’라는 대사에서 ‘놈’ 자를 빼게 했고, 경찰이 도둑을 못 잡는 스토리는 교육적이지 않다면서 빼도록 했을 정도 였습니다, 감히 어른한테 대든 다는 등의 내용도 상상도 못할 정도 였다고 합니다.
음악
2024년 4월 15일 작성 됨
Q.
이집트의 고대 음악은 어떤 악기들이 사용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집트의 고대의 음악은 성악을 주로 하여, 종교상의 의식이나 전쟁을 할때 쓰였다고 합니다. 당시의 악기로는 시링크스, 아울로스, 리라, 키타라 같은 간단한 악기가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키타라(Kithara)는 고대 그리스의 발현악기이고 아폴론 의 악기로서 디오니소스 의 피리인 아울로스 와 함께 고대 그리스 음악의 대표적인 악기라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15일 작성 됨
Q.
스위스의 군사력은 어느정도 되는지?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013년 기준으로 현역이 147,075명이지만 개중 직업군인은 3,500명 정도이고 평상시 생업에 종사하다가 매년 19일씩 6번 동원훈련에 참가하는 민병(예비군)이 15만 명, 소집은 끝났고 편성으로만 남아있는 예비역은 77,000명이다. 정규군 외 민병대 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는 게 특징이라고 합니다. 스위스의 신체 건강한 모든 남성들은 모두 군대를 가야 한다고 하며 여성들 또한 자발적으로 군입대를 희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해에는 'NATO' 회원국 최초로 여성 징병제를 도입한 노르웨이를 따라 스위스 또한 여성 국복무 의무를 논의하고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15일 작성 됨
Q.
영국에서는 어떤 이유로 장미전쟁이 발발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미전쟁 은 플랜태저넷 왕조 의 분파들인 랭커스터 왕조 와 요크 왕조 가 잉글랜드 왕국 의 왕위를 놓고 1455년에서 1487년까지 잉글랜드에서 벌인 내전 입니다. . 1455년부터 1485년까지 벌어졌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15일 작성 됨
Q.
제사지낼때 술잔을 돌려서 상에 올리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사 지낼때 술잔을 돌려서 상에 올리는 이유는 술을 깨끗하게 만들어 조상님께 올리기 위함과, 술을 따뜻하게 데운 것을 드리는 의식이라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15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에도 장학제도라는 것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장학 제도의 대표적인 것이 성균관 입니다. 성균관은 문과시험을 준비하는 조선왕조 최고의 교육기관이었는데 성균관 은 관학의 최고학부였기 때문에 유생들이 학습·기숙하는 모든 비용은 국가에서 지급하게 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이 점은 사학·종학·향교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15일 작성 됨
Q.
세종대왕님은 왜 똑같은 책도 수백번 보신 건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대왕은 경서를 보통 100번 이상 보았다고 하며 다른 책들도 30번씩 보았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는 책은 읽을 떄마다 다른 느낌을 받으며 자꾸 읽을 수록 저자의 원래 의도를 제대로 파악 할수 있기 때문 입니다.
역사
2024년 4월 15일 작성 됨
Q.
나전칠기에 역사에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전칠기는 대한민국의 고대 예술 기법으로, 기원은 약 2,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에는 주로 궁궐과 사찰에서 사용되는 고급 예술품이었습니다. 그 후 조선 시대에는 궁중 예술로 발전하였으며, 특히 조선 왕조의 귀중품으로 많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고려 나전칠기는 15건으로, 대부분 해외에 있다고 합니다. 국내에는 2018년 보물로 지정된 ‘나전모란넝쿨무늬경전함’을 비롯해 ‘나전국화넝쿨무늬합’ ‘나전대모국화넝쿨무늬불자’ 등 3개뿐인데 나머지는 일본 7개를 포함해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지에 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15일 작성 됨
Q.
한국에 국회의원에 역사상서 최다선 의원은 어떤 분이신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 나라 국회 역사상 가장 많은 횟수의 당선은 9회인데 최다선 국회의원은 9선을 기록한 3명으로 김영삼, 박준규, 김종필 입니다.
역사
2024년 4월 15일 작성 됨
Q.
세계최초의 신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Wiener Zeitung이 1703년에 창간되었으며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일간지로 간주됩니다. 지속적으로 발행되는 가장 오래된 주간 신문은 공식 스웨덴 관보인 Post-och Inrikes Tidningar였습니다. 1645년에 시작되어 2007년에 인터넷 전용 형식을 채택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 세계 최초의 신문으로 알려진 1577년 조선시대 '조보'의 실물이 처음 발견됐다고 하는 뉴스도 있었습니다.
211
212
213
214
2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