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4년 6월 12일 작성 됨
Q.
can과 be able to 사용할때가 다른데 각각 언제 사용하는건가요?
영어에서 can은 조동사이고 be able to는 준 조동사에 속합니다. 영어 에서는 조동사를 둘다 같이 사용 할수 없습니다. 그래서 will can 는 사용 하지 못하고 will be able to 동사 원형을 쓰는 것 입니다. 예문을 들면, ex) He will be able to speak english well next year. ( 그는 내년에 영어를 유창하게 하게 될 것 입니다.)
문학
2024년 6월 12일 작성 됨
Q.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이 우리나라가 세계 5위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는 1950년 6월 14일 최초로 유네스코의 회원국이 되었고 최초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지난 1995년에 등재된 석굴암과 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등 3개라고 합니다.
문학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어제'나 '내일'은 명사로도 쓰이고 부사로도 쓰이는데 왜 그런가요?
우리말이나 영어나 한 단어가 명사와 부사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는 많습니다. " 당장" " 순간" " 방금" 등 많은 단어들이 명사의 역할을 하면서 부사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문학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가부장 질서를 비판하는 소설은 어떤 작품인가요?
조선 시대의 가부장적 질서를 비판 하는 대표적인 소설이 이춘풍전 입니다. 조선 숙종 시절을 배경으로 이춘풍이 유흥에 빠져 가산을 탕진하고 기생의 집에서 하인 노릇까지 하게 되었으나, 아내의 노력으로 개과천선하여 방탕한 생활을 청산하고 화목한 가정을 이룬다는 내용의 풍자소설 입니다.
문학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시를 잘 쓰기 위한 기본적인 팁이 있나요?
시를 잘 쓰기 위해서는 사물을 깊이 보고 해석하는 능력이 필요 합니다. 지식이나 관찰이 아닌 지혜(지식+경험)의 눈으로 보고 통찰하는 직관력이 필요한 것 입니다. 그리고 이미지와 이미지를 연결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정서의 구조화가 필요합니다. 추상적 관념을 이미지로 만들고 정서를 체계화하기 위하여 ‘객관적 상관물’을 찾아내야 하는데 또한 1차적 정서를 2차적 정서로 만들어내는 과정이 필요하고 그러기 위하여 ‘객관적 상관물’을 쓰게 됩니다. 이것을 ‘정서적 객관화’ ‘감수성의 통일’등으로 부른다고 합니다.
246
247
248
249
2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