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Have + p.p와 Have been p.p는 어떻게 다른건가요?
Have + p.p는 동작 위주의 능동적인 행위를 나타 내며 have + been + p.p는 상태 위주의 수동적인 의미를 나타 낸다고 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x) He has worked for this company for a long time. ( 그는 이 회사에서 오랜 동안 그무 해 왔다) 라고 할 때는 능동적이고 행위를 위주로 표현 한것입니다. 반면, ex) He has been sick for one onth. ( 그는 한달 동안 아팠었다) 이 경우에는 아팠다라는 상태를 나타내기에 have been 형용사)( 혹은 p.p) 형태로 나타 낸 것 입니다.
문학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향후 부정정기간" 해석해주세요...?
부정 장기간 치료가 필요 하다는 말은 정해 지지 않은 기간 동안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 하다는 의미 입니다. 즉, 현재로서는 언제 까지 치료를 하면 완쾌 된다고 장담 할수 없으니 장기적인 치료를 계속 해서 경과를 지켜 봐야 한다는 의사 소견으로 보입니다.
문학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성경에 비유적 표현이 많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인간의 말은 그 특성상 화자 (話者)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정확하게 담아내는 데에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생각이나 느낌을 전달하기란 여간 어렵지 않고 듣는 이의 경험이나 주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유는 아주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 방법이 된다고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그 누구도 보거나 생각한 적이 없는 하느님 나라와 당신 아버지를 그려 보이기 위해 다양한 비유를 사용해서 인간들의 이해를 도와 주신 것 입니다.
문학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시조가 고려 중기에 발생했다고 하는데, 그 근거가 되는 작품은 무엇인가요?
시조는 고려 중기 혹은 후기에 기원을 두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시인은 우탁 (禹倬: 1263~1343)인데 고려 충선왕 (忠宣王)~충숙왕 (忠肅王) 때의 학자의 가 대표적인 시조인데 이라는 책에 전해 지고 있습니다.
문학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wide와 broad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wide 와 broad 는 둘다 널찍한 등의 형용사로 쓰이지만 약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wide 는 물건, 사물에 보통 많이 쓰고 사람의 신체 일부에 대해서는 braod 를 많이 쓰게 됩니다. ex) He came out through wide doorway. ex) He has a broad forehead.
246
247
248
249
2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