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숙종이 재위하던 시절을 조선 문화의 절정기라고 표현하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숙종의 재위 기간은 조선 중기 이래 지속되어 온 붕당정치 (朋黨政治)가 절정에 이르렀던 시기였다고 합니다. 어떠한 정치 운용 방식의 극성기는 또 한편으로는 그에 뒤이은 하향·쇠퇴를 의미하는 만큼, 숙종대는 붕당정치가 말폐현상을 노정하면서 그 자체의 파탄이 발생하던 시기였다고 합니다. 숙종시대는 우리의 소설문학이 발흥한 시대였으니, 그 원인의 또 하나는 이웃나라 중국이 소설문학의 가장 찬란하던 명말(明末)에서 청초(淸初)에 걸쳐 있어 그 영향도 있었기 때문 입니다.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많은 소설들은 일반 대중이 애독하였을 뿐 아니라, 대부분은 우리말로 번역 또는 번안되어 자연스럽게 우리의 소설문학을 자극하였고, 한글 자체에서도 조선 후기에 들어와서는 완전히 보편화되어 소설 발달에 절호의 기회를 주었던 것입니다. 이와 같이 숙종시대는 시가 방면의 발전도 볼 수 있으나, 고대 소설의 발달사적 단계는 숙종 시대를 중심으로 최고봉을 이루었으니, 우리 문학은 우리말로 써야 한다는 국어 존중론자인 서포(西浦) 김마중(金萬重) 같은 이가 나와 소설로서 우수한 등을 제작하였던 것이라 합니다.
Q. 예언서 정감록의 십승지는 어디를 말하는 건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십승지의 입지조건은 자연환경이 좋고, 외침이나 정치적인 침해가 없으며, 자족적인 경제생활이 충족되는 곳으로, 한국인의 전통적 이상향의 하나이기도 하다고 합니다. 1)풍기의 금계촌(金鷄村), 2)안동의 화곡(華谷, 현 봉화 춘양면), 3)보은 속리산 아래 증항(甑項) 근처(현 상주 우복동), 4)남원 운봉의 지리산 아래 동점촌(銅店村), 5)예천의 금당동(金堂洞, 금당실 마을), 6)공주의 유구(維鳩)와 마곡(麻谷), 7)영월의 정동상류(正東上流), 8)무주의 무풍동(茂豊洞, 9)부안의 변산(邊山) 호암마을, 10)성주 기야산의 만수동(萬壽洞) 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