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세상은 AIAI인공지능 그러는데 도대체 인공지능이란게 뭔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인공지능은 컴퓨터 과학과 강력한 데이터 세트를 결합하여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분야입니다. 인공지능과 함께 자주 언급되는 머신 러닝, 딥 러닝 등의 하위 분야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이러한 분야는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 또는 분류를 수행하는 전문 시스템을 만들려는 AI 알고리즘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시스템인데 자동 음성 인식(ASR), 컴퓨터 음성 인식 또는 음성-텍스트 변환이라고도 하며,자연어 처리(NLP)를 사용해 사람의 음성을 글자 형태로 처리하는 기능입니다. 많은 모바일 기기가 시스템에 시리와 같은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합하여 음성 검색을 수행하거나또는 문자 메시지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하고 있습니다. 고객 서비스: 고객 응대 과정에서 온라인 가상 상담사가 인간 상담사를 대체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챗봇은 배송 등의 주제로 자주 묻는 질문(FAQ)에 답을 주거나 맞춤형 조언을 제공하고, 제품을 교차 판매하거나 고객에게 사이즈를 추천 해줌으로써 웹사이트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고객 참여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바꾸어 줍니다.가상 상담사를 보유한 전자 상거래 사이트의 메시지 봇, Slack 및 Facebook Messenger와 같은 메시지 앱, 가상 어시스턴트 및 음성 어시스턴트가 주로 수행하는 작업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Q. 고 이건희 회장의 미술품 컬렉션에는 어떤 작품이 있고, 가치는 어느정도로 추산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 이건희 현대 회장의 컬렉션에는 김환기, 나혜석, 박수근, 이인성, 이중섭, 천경자 등 한국 근현대미술 대표작가의 명작들과 모네, 샤갈, 달리, 피카소, 등 세계적인 거장들의 대표작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Q. 한국사에서 과거시험 제도는 언제부터 시작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의 과거제도는 광종 때 중국인 쌍기(雙冀)의 건의에 따라 958년에 처음으로 실시되었다고 합니다.처음에는 제술과(製述科, 진사과)·명경과(明經科) 및 의(醫)·복(卜)과를 두었는데, 그 뒤에 더욱 발전하여 인종 때 대략 정비됐다고 합니다. 제술과는 시(詩)·부(賦)·송(頌)·책(策) 등의 사장(詞章,문예)으로써 인재를 뽑는 것이며, 명경과는 유교의 경전으로, 잡과는 법률, 의학·천문·지리 등 기술 과목으로 시험하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