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우리말 품사 중에서 '은'과 '는'이 주격 조사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하셨듯이 이/가'는 주격 조사이며 '은/는'은 보조사입니다. 문맥이나 상황에 따라 '은/는'이 주격 조사 대신 쓰이기도 합니다.이는 문맥을 통해 알 수 있는 부분이라 규칙으로 할수는 없습니다. 보조사 '은/는'은 주격 조사에 비해 '화제'임을 나타내거나 '강조'하는 역할만을 하게 되기에 주격 조사가 아니라 보조사로 쓰이는 것 입니다.
문학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죽기전에 읽어야할 소설 같은 건 어떻게 선정되나요?
죽기전에 꼭 읽어야 할 베스트 100 이런식으로 제목을 붙이는 것은 유명 기관의 이름을 걸고 그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정하는 것 입니다. 예를 들어 뉴욕 타임즈 선정 죽기 전에 읽어야 할 베스트 10, 혹은 BBC 선정 등 공신력 있는 언론 기관이 보통 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학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쇠고기, 소고기 뭐가 맞는 말인가요??
둘다 맞는 말 입니다. 과거에는 소고기라는 말을 오랜 동안 쓰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1988년 맞춤법을 개정하면서 둘 다 표준어로 인정해서 복수 표준어가 되었다고 합니다. ‘쇠’는 ‘소의’의 준말이고, ‘소의 고기’가 ‘쇠고기’ 입니다.
문학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데자뷔라는 것은 어느나라 말이고 언제부터 나오게 된 단어인가요?
데자뷔는 프랑스어 로 '이미 (DÉjÀ) 본 (Vu)'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1900년 프랑스의 의사 플로랑스 아르노 (Florance Arnaud)가 처음으로 이 현상을 정의하고 프랑스의 초심리학자 에밀 부아라크가 사용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문학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설문을 통해 통계를 만든 글 정도로는 학술지라고 보기 어려울까요?
설문 조사와 통계를 활용하여 학술지에 글을 쓰는 것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고 충분히 학술지의 내용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다만, 통계와 설문 조사는 그 학술지에 실리는 자료의 일부분이며 그것 자체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학술지의 조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먼저 연구 주제를 선정하고 연구 목적을 명확히 정의하고 그 정의에 따라 설문 조사를 통해 어떤 통계적 분석을 수행할지 결정해야 하는 것 입니다. 그리고 나서 설문지를 작성할 때는 연구 주제와 관련된 질문을 구성해야 하고 설무지는 연구 변수와 연관되어서 다양한 질문을 포함 해야 신뢰도가 높아 집니다.
261
262
263
264
2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