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제표준시간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지게 된것인가요?
힘찬하늘소177님 안녕하세요 국제표준시간은 표준 시간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그 중 한 가지 중요한 표준 시간은 그리니치 평균시(GMT: Greenwich Mean Time)로, 1884년 국제 항해 회의에서 도입되었습니다.이 회의에서 참가자들은 세계를 24개의 시간대로 나누고, 그리니치 천문대를 0도 경도로 정하는 것을 결정했습니다. 그 이유는 그리니치 천문대가 당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천문학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고, 그리니치를 기준으로 하는 시간을 사용하는 국가들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그리니치 평균시는 세계의 기준 시간으로 널리 인식되었습니다.하지만 이후 과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더욱 정확한 시간 표준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1972년부터 국제 원자시(TAI: Temps Atomique International)와 국제지구회전시(UT1)의 혼합체인 협정 세계시(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가 국제표준시간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UTC는 원자시계에 의해 측정된 원자시간과 지구의 실제 회전에 의해 결정되는 태양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만들어집니다. 이 방법은 과학적인 정밀성과 자연적인 시간 흐름 간의 균형을 맞추려는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UTC는 현재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표준시간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습니다
Q. 이슬람교의 무함마드가 예언자라고 불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용한문어80님.무함마드가 이슬람에서 "예언자"라 불리는 것은 그가 신(Allah)의 말씀을 받아 사람들에게 전파했다고 믿는다는 점에서 기인합니다. 이를 통해 그는 신의 계시를 받는 매개체, 즉 '예언자'로 인식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예언자의 개념은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과는 다릅니다.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은 미래의 사건을 예견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무함마드는 신의 계시를 받아 이를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했습니다.무함마드의 예언, 즉 신의 계시는 이슬람의 성서인 쿠란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들 계시는 사회, 정치, 경제, 도덕, 이슬람 법률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있으며, 무함마드의 삶 동안 수많은 계시가 있었다고 믿어집니다. 쿠란은 이러한 계시를 모아 놓은 것으로, 이슬람교도들에게 가장 중요한 종교적 텍스트입니다.따라서 무함마드는 그가 신의 말씀을 전파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 때문에 '예언자'로 불리는 것입니다. 이는 그가 미래의 사건을 예언하는 노스트라다무스의 역할과는 다르며, 이슬람교에서는 무함마드를 마지막 예언자로 여깁니다. 이는 그 이후로는 더 이상 신의 계시가 오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입니다.또한 무함마드가 '선지자'라 불리는 것도 있습니다. 선지자는 보다 넓은 의미로, 신에게서 직접적인 계시를 받은 사람을 일컫습니다. 이슬람에서는 무함마드 이전에도 아브라함, 모세, 예수 등 많은 선지자들이 존재했지만, 무함마드가 마지막으로 직접적인 계시를 받은 사람이라는 점에서 그는 '마지막 선지자'로 불립니다. 이는 이슬람교의 핵심 교리 중 하나입니다.이러한 정보가 조용한문어80님의 질문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Q. 일본 역사 중 쇼군, 막부, 다이묘 용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시침과 분침이 함께님.쇼군: 쇼군은 일본에서의 군사적 지도자를 의미하는 데, '장군'이라는 뜻입니다. 특히, 중세 일본의 '세이이 다이 쇼군'은 당시의 실질적인 군정 권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막부: 막부는 중세 일본의 군사 정권을 지칭하는 용어로, 특히 1192년부터 1867년까지 존재한 쇼군 정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막부는 쇼군의 관저인 막부(幕府)에서 유래되었습니다.다이묘: 다이묘는 일본의 전통적인 토지 소유자 계층을 가리키는 말로, 일본의 전국시대에는 다수의 다이묘들이 자신들의 영토를 지키기 위해 군사력을 키웠습니다.쇼군이 천황을 몰아내고 스스로 천황이 되지 않은 이유는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천황이 가진 종교적, 문화적 권위 때문입니다. 천황은 아마테라스(태양신)의 후손으로서 신성한 존재로 인식되었으며, 이를 통해 일본 사회에 깊은 영향력을 끼쳤습니다. 이런 천황의 위치를 쇼군이 차지하려 했다면, 사회적 불안과 반발을 초래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쇼군은 천황을 격리시키는 한편, 천황의 권위를 이용하여 자신의 정치적 지위를 견고히 하는 전략을 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이런 배경을 이해하면, 전국시대의 살벌함과도 관련이 있는데, 그 이유는 다수의 국가들이 권력을 겨루며 지배권을 확장하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는 '사무라이'라는 용사 계층이 무력을 통해 사회적 지위를 높이려고 했던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Q. 미술에서 팝아트 양식은 어떤 걸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아리따운안경곰70님.팝 아트는 "대중 예술(Popular Art)"의 줄임말로,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에 이르는 시기에 주로 미국과 영국에서 부상한 미술 흐름입니다. 팝 아트는 대중문화와 상업적인 이미지, 일상생활의 소비품 등을 주요 소재로 하여, 미술이 고등 문화의 전유물이 아닌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습니다.팝 아트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대중문화의 상업적 이미지와 아이콘을 자유롭게 이용하였습니다.강렬한 색채와 반복적인 패턴, 단순화된 형태 등을 활용하여 시각적 충격을 주었습니다.콜라주나 실크스크린과 같은 복제 기술을 활용하여 대량 생산의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팝 아트의 대표작가로는 앤디 워홀(Andy Warhol), 로이 리히텐스타인(Roy Lichtenstein) 등이 있습니다.앤디 워홀의 대표작으로는 '마릴린 디피티치(Marilyn Diptych)'나 '캠벨 수프 캔(Campbell's Soup Cans)'이 있으며, 로이 리히텐스타인의 대표작으로는 '휘파람을 불며 넘어가는 남자(Whaam!)',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Drowning Girl)' 등이 있습니다.팝 아트는 그 이후의 예술 흐름에도 큰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 대중문화와 예술 사이의 경계를 허문 점에서 현대 미술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Q. 사그리다 파밀리아 성당은 언제 완공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옹골진발발이175님.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위치한 사그라다 파밀리아는 가우디가 설계한 가장 유명한 건축물 중 하나입니다. 사그라다 파밀리아의 건축 작업은 1882년에 시작되었으며, 가우디는 1883년부터 이 프로젝트를 인수하여 나머지 인생을 이 성당의 설계에 투자했습니다. 그는 1926년에 사망하였지만, 그의 설계는 그 이후에도 계속 이어졌습니다.사그라다 파밀리아의 건축 작업이 오랜 시간 동안 진행되고 있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가우디의 독특하고 복잡한 설계는 그 자체로 건축적인 도전이었습니다. 이러한 복잡성은 작업을 느리게 만들었습니다. 둘째, 사그라다 파밀리아의 건축은 전적으로 사적 기금과 기부금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자금이 부족한 시기에는 작업이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셋째, 스페인 내전 중에 건축 도면 일부가 소실되어 작업에 차질이 생겼습니다.사그라다 파밀리아의 완공 시기는 계속 변해 왔습니다. 가장 최근에는 2026년을 목표로 제시하였는데, 이는 가우디의 사망 10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작업에 차질이 생겨 이 시기가 다시 연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까지 정확한 완공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Q. 클래식 고전파 음악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즐거운가오리188님.클래식 음악의 '고전파'는 대략 1750년에서 1820년 사이로, 바로 바로크 시대 후에 이어진 시기를 가리킵니다. 이 시기는 바로크와 로맨틱 시대 사이의 과도기적인 성격을 띄며, 그 중심 인물로는 바로크 시대를 마무리하며 고전파를 이끈 헤이든과 모차르트, 그리고 고전파에서 로맨틱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 베토벤이 있습니다.고전파 음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형식적 엄격성: 고전파 음악은 분명한 형식과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소나타 형식, 론도 형식 등 구조적인 원칙이 엄격하게 지켜지며, 이에 따른 규칙을 통해 음악이 전개됩니다.감정의 조절: 고전파 음악은 바로크 시대의 감정적 과잉을 피하고, 감정 표현을 보다 절제하며 균형을 이루려고 했습니다. 감정의 대비와 변화가 있지만, 그 변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집니다.명확한 멜로디와 간결한 텍스처: 고전파 음악은 주요 주제를 명확하게 드러내며, 그 주제를 중심으로 음악이 구성됩니다. 텍스처는 간결하게 유지되며, 복잡한 폴리포니보다는 화음적인 텍스처가 주를 이룹니다.동적 대비: 고전파 음악은 동적 대비와 다양한 표현 기법을 활용해 음악에 생동감을 불어넣습니다. 대조적인 주제나 동적인 변화 등을 통해 듣는 이의 주목을 끕니다.화성 진행의 규칙성: 고전파 음악에서는 화성 진행이 규칙적이고 예측 가능하게 이루어집니다.이러한 특징들이 모여, 고전파 음악은 그 자체로 완결성을 지니며, 듣는 이에게 안정감과 균형감을 주는 음악적 특성을 갖게 됩니다. 이는 이 시대의 음악가들이 추구한 '자연스러움'과 '균형'이라는 가치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Q. 이재수의 난이 무슨사건인가요?
안녕하세요, 대찬밀잠자리170님."이재수의 난"은 19세기 후반, 천주교를 배경으로 한 한국에서 발생한 중요한 사건 중 하나입니다. 이 사건은 천주교 신자들 사이에서 교리 해석의 분쟁이 일어났을 때 발생했습니다.이재수는 프랑스 선교사들이 중심이 된 조선의 천주교 교회 체제에 반발하여 천주교 신자들로 구성된 독립적인 교회를 설립한 사람입니다. 이재수는 본래 천주교 교회의 신부로서 활동하다가 그의 해석에 따라 일부 신자들과 함께 분리되어 독립적인 교회를 세우게 되었습니다.이재수와 그의 추종자들이 세운 이 독립 교회는 자체적인 교리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신자들을 교육하였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기존 천주교 교회의 교리와 대립하였으며, 이로 인해 천주교 교회 내에서 큰 분란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이재수의 난"은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을 일컫는 말로, 한국 천주교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 사건을 통해 한국 천주교 신자들 사이에서 교리에 대한 해석과 이해, 그리고 신앙 실천의 방식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이러한 분쟁은 결국 이재수의 체포와 처형으로 이어졌고, 이 과정에서 많은 이재수의 추종자들이 핍박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사건은 한국 천주교사에서 아픔과 고난을 겪어야 했던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Q. 옛 고서들을 읽어보며 뜻을 알아가는 중입니다. 畵虎不成(화호불성)이라는 말은 어떤 의미인지요?
안녕하세요, 의로운텐렉166님. 한자 공부를 하시는군요, 정말 멋집니다."畵虎不成(화호불성)"이란 고사성어로 '호랑이를 그리려다가 개처럼 되다'라는 의미입니다. 즉, 어떤 것을 하려고 했지만 그 목표를 이루지 못하고 중도에 그치게 되었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원래는 중국의 한 고사성어로, 목표를 달성하려 했으나 계획대로 되지 않아 실패하게 된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이것은 고대 중국의 이야기에서 유래한 말로, 한 화가가 호랑이를 그리려 했지만 그려 나가다 보니 그림이 개처럼 되어 버렸다는 뜻으로, 이를 통해 어떤 일을 계획했지만 그 목표를 이루지 못하고 중도에 그치게 되었다는 것을 상징합니다.즉, '화호불성'은 원래 계획하거나 목표했던 것을 제대로 완성하지 못하고 미완성 상태로 남게 된 경우에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Q. 다윈의 진화론과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에 뿌리를 두고 있는 제국주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시침과 분침이 함께님.제국주의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유럽의 대국들이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 세계 각지를 식민지로 통치하는 데 사용된 이론과 실제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제국주의는 그 근거로서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과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을 자주 인용했습니다.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은 '적자생존'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는데, 이는 생물체들이 환경에 적응하며 변화하는 과정에서 가장 적응력이 뛰어난 생물체만이 살아남는다는 이론입니다. 이는 제국주의자들에게는 '강자가 약자를 지배하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라는 정당화의 근거가 되었습니다.허버트 스펜서는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을 사회에 적용하여 사회진화론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사회도 마찬가지로 진화하고, 가장 강한 사회만이 살아남는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론은 더 강력한 국가가 약한 국가를 지배하고 그들의 문화를 흡수하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라는 제국주의적 사고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이러한 사상은 제국주의 국가들이 식민지를 지배하고 그 자원을 약탈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그들은 이를 통해 식민지의 사람들을 '미개하다'고 묘사하고, '계몽'을 통해 그들을 '문명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통해 자신들의 행동을 정당화했습니다.이러한 제국주의적 사고는 지배와 억압, 폭력의 끊임없는 순환을 야기하였으며, 그 흔적은 오늘날까지 여전히 많은 사회에서 보여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고방식에 대한 비판과 반발 또한 많이 일어났으며,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Q. 로댕은 코가 일그러진 남자를 왜 출품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조용한문어80님.로댕이 "코가 일그러진 남자(The Man with the Broken Nose)"를 처음 만들었을 때, 그는 아직 젊은 예술가로서 자신의 예술적 방향성을 찾아가는 단계였습니다. 이 작품은 사실적이고 현실적인 표현과, 전통적인 조각품의 아름다움에 대한 도전을 시도한 것으로, 그의 초기 작품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로댕이 이 작품을 출품한 이유는 몇 가지로 생각됩니다.첫째, 로댕은 "코가 일그러진 남자"를 통해 자신의 예술적 비전을 시사하려고 했습니다. 이 작품을 통해 로댕은 자신이 사실주의의 관념을 수용하면서도, 전통적인 아름다움의 틀을 벗어나 인간의 실제 모습을 그대로 묘사하려는 의도를 드러냈습니다.둘째, 이 작품을 통해 로댕은 전통적인 조각품과 달리 완성도보다는 과정과 원형을 중시하는 새로운 예술적 접근을 시도했습니다. 이로서 그는 조각의 완성도나 미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기보다는, 인간의 내면적인 감정과 삶의 현실을 직접적이고 솔직하게 표현하려는 의도를 보였습니다.결국 로댕이 "코가 일그러진 남자"를 출품한 것은, 자신의 예술적 비전과 도전을 공개하고, 그에 따른 반응을 통해 자신의 예술적 방향성을 검증하려는 의도에서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