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왜 신용점수는 2개로 나뉘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두 평가기관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이 다른데요.나이스는 금융기관과 카드사 등에서 직접 수집을 하는 방식이고,kcb는 금융기관 외 통신사, 온라인 결제 정보 등도 넓게 반영하고 있습니다.이에 나이스는 전통적이고 안정적인 반면, kcb는 보다 다양한 비금융 정보를 반영하고 있습니다.각 제휴 은행마다 둘 중 다른 점수를 보고 있기 때문에 둘 다 중요하게 체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신용점수가 높으면 일단 대출, 신용카드 발급 시에 유리하기 때문에 높을수록 좋습니다.
Q. 하루에 앱테크에 투자하는 시간은 얼마가 적당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다양한 앱테크를 보면 투자하는 시간에 따라 수익이 많이 달라지는 건 맞는 것 같습니다.다만, 투자 대비 효율이 많이 좋은 편은 아니기 때문에 말씀하신대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갈 만큼투자하시는 것은 개인적으로 과도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얼마의 시간이 좋다고 말하기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지만,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을 만큼만 하시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또, 시간에 지장이 없는 앱테크도 일부 있는 데 이런 것들을 병행하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Q. 목돈을 단기간 예치할 때 적금과CMA 중 무엇이 더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적금은 목돈을 보관하기에 적합하지는 않습니다.예금과 CMA를 비교하셔야 할 것 같은데, 예금의 경우 단기간은 이자가 좋지 않은 편이라 보통 유의미한 이자를 받으려면 6개월에서 1년정도가 좋습니다.단기간이 어느정도를 생각하시는지에 따라 다르고, 말씀하신 중도해지 가능성이 있다면 CMA가 더 좋을 가능성이 큽니다. CMA는 원금을 보장하지 않는 상품이기는 하나,위험성이 크지는 않기 때문에 단기간 보관하신다고 하면 CMA를 가입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기는 합니다.
Q. 우리나라의 한국은행의 기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은행 기능을 간단히 요약해보면,기준금리를 조절하고, 물가안정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화폐발행을 담당합니다.시중은행이 자금을 빌릴 수 있는 최종 대부자의 역할을 합니다.정부의 에산 수입과 지출을 관리하는 정부의 은행 역할을 합니다.미국의 연준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데, 일부 차이는 있습니다.한국은행은 물가안정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연준은 물가안정과 최대고용을 목표로 하며,독립성 부분에서도 연준이 더 강한 독립성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