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식이 일을 하고 돈을 벌면 자신이 부모로서의 위치가 약해지는 것을 우려하여
안녕하세요. 네, 그런 부모들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자식이 독립적으로 돈을 벌기 시작하면, 부모로서의 역할이나 존재감이 줄어들까 두려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책임감이 강하고 자식에게 애정을 깊은 부모일수록, 내가 끝까지 도와줘야 한다는 생각에 자립을 막기도 합니다. 자식이 고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되지만, 결국 자립을 방해하게 되는 셈이에요. 이런 부모는 자식이 경제적으로 독립하려 할 때 불안함을 느끼고 갈등을 겪기도 합니다. 하지만, 자식의 성장과 자립은 건강한 관계를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에요. 부모와 자식 모두 각자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 결국 서로를 위한 길입니다.
Q. 경계선 지능에 있는 초등학생의 비율은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안타깝게도 우리나라는 경계선 지능을 판단하는 통계를 별도로 내지 않고, 초등학교에서도 그러한 자료가 없습니다. 다만, 인구의 10~15%가 경계선 지능이라는 통계고 있고 한 반의 아이들은 20~25명이므로, 2~3명 정도가 경계선 지능에 해당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이 듭니다. 그나마 다행인 건 경계선 지능에 대한 관심과 홍보가 늘어나면서, 추후에는 조기 발견될 수도 있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