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방 청소를 안하는 아이 하게 할수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많이 힘드실 것 같아요. 아이 방 청소는 많은 보호자님들이 겪는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우선은 아이에게 왜 방을 치워야 하는지, 이유를 공감할 수 있는 말로 설명해 주세요. 더 쉽게 물건을 찾을 수 있다거나 등의 이유를 들면 아이도 설득을 당하게 됩니다.그리고 아이에게 선택권을 어느 정도 주는 게 필요합니다. 오늘 저녁 먹기 전에 할래, 내일 아침에 일어나서 할래 등처럼, 아이에게 어느 정도 선택권을 주는 것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 아이가 청소할 수 있는 작은 단위로 나누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처음에는 옆에서 같이 도와주되, 네가 사용하는 물건이니까 네가 정리해주면 멋질 것 같다고 동기를 불어넣어 주면 도움이 됩니다. 청소를 다 하면 작게라도 칭찬해주거나, 체크리스트에 별표를 주는 등 보상이 따라오면 행동이 습관이 되기 쉽습니다.무엇보다도 중요한 건, 아이가 치우지 않았다고 해서 바로 대신 치워 주는 건 스스로 해야 할 책임을 없애는 것이니 가능한 기다려 주는 게 필요합니다. 가끔은 방이 더러워져서 불편을 느끼는 것도 방법이니까요 :) 모쪼록, 차근차근 아이가 달라질 수 있도록 해 보시기 바랍니다.
Q. 자존감이 낮은거 같을때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자존감이 낮다고 느껴질 때에는 우선 그 감정을 부정하지 말고, 그럴 수도 있다고 다독여 주세요. 100명 중 1명이 싫어해도 나머지 99명이 질문자님이 좋아하거나, 무관심할 수 있다는 사실도 잊지 않는 게 중요해요. 비교는 습관입니다. 멈추는 것은 어렵지만, 비교 대상을 과거의 나로 바꾸면 건강한 방향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하루에 한 가지씩, 오늘 내가 잘한 일을 써보면 도움이 됩니다. 작은 성취를 인정해 나가면 마음이 조금씩 단단해져요. 스스로에게 괜찮다고, 노력하고 있다는 말을 자주 하면서 자존감을 키워 보시기 바랍니다. 긍정적인 말로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반복되면 뇌가 그것을 사실처럼 믿기 시작합니다. 남과 비교해 자신을 깎아내리기보단 나를 돌보는 연습을 꾸준히 해 보시기 바랍니다.
Q. 문해력은 학년에 맞게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문해력은 아이의 학년에 맞추는 것보다 실제 이해 수준과 관심도에 맞추는 게 더 중요합니다. 학년 수준보다 어렵거나 복잡한 글을 무리해서 읽히면 흥미를 잃기 쉽고, 오히려 독서에 대한 거부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글에 관심이 적은 아이의 경우, 한 학년 정도 아래 수준으로 시작을 해도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자신감과 흥미를 키우는 게 우선이고, 쉬운 글을 통해서 읽고 이해하는 즐거움을 느끼도록 하는 게 핵심이에요.문해력은 단순히 글을 읽는 능력이 아니라, 내용을 파악하고 의미를 연결하는 사고의 힘이기 때문에, 아이의 현재 수준에 맞는 적절한 독해 자료와 흥미 있는 주제를 활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꾸준한 읽기 습관을 형성하도록 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