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사랑스러운 레베카
사랑스러운 레베카

문해력은 학년에 맞게 하는게 좋을까요?!

선행 학습을 하기 보다 독해 과정에 있어서는 자신의 학년에 맞게 시작하는게 옳은 건가요? 조금 글에 관심이 없는 경우, 한학년 아래로 낮춰서 해도, 문제 없는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문해력은 글을 읽고, 그 문장의 뜻을 인지하고 그 문장의 내용을 이해하는 부분을 뜻합니다.

    아이가 글을 읽고,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부분의 대한 인지가 부족 하다 라는 것은

    책을 읽을 때 집중력이 부족함과 책의 대한 부분의 관심과 흥미가 부족함이 커서 입니다.

    아이에게 문해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책을 꾸준히 읽히는 것이 좋은데요. 책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면 아이가 현재 관심을 가지고 있는 관심사의 관련된

    책을 읽어보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가 왜 인지를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더나아가 상황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을 설정한 후, 아이 스스로 생각하고 그 문제를 해결해 보도록 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문해력의 많은 도움이 되어질 수 있겠습니다.

  • 질문자님이 잘 아시다시피 문해력, 독해력 다른 학습도 마찬가지지만 아이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해서 수준/연령에 맞게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겠습니다.

    아이들의 인지 발달 차이, 흥미와 동기 유발, 자신감과 학습 효과 등을 위해서는 수준별 접근이 중요합니다.

    문해력을 위해서는 단계별 독서 자료 제공, 질문과 토론 유도, 읽고 쓰기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꾸준히 하는 것도 문해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문해력은 아이의 학년에 맞추는 것보다 실제 이해 수준과 관심도에 맞추는 게 더 중요합니다. 학년 수준보다 어렵거나 복잡한 글을 무리해서 읽히면 흥미를 잃기 쉽고, 오히려 독서에 대한 거부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글에 관심이 적은 아이의 경우, 한 학년 정도 아래 수준으로 시작을 해도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자신감과 흥미를 키우는 게 우선이고, 쉬운 글을 통해서 읽고 이해하는 즐거움을 느끼도록 하는 게 핵심이에요.

    문해력은 단순히 글을 읽는 능력이 아니라, 내용을 파악하고 의미를 연결하는 사고의 힘이기 때문에, 아이의 현재 수준에 맞는 적절한 독해 자료와 흥미 있는 주제를 활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꾸준한 읽기 습관을 형성하도록 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문해력 학습은 선행보다는 아이의 현재 학년 수준에 맞춰 진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국어 교과서나 학년별 문해력 교재는 해당 학년 아이가 이해하기 적합한 어휘와 내용을 담고 있어 학년에 맞게 차근차근 익히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만약 아이가 글에 관심이 적거나 독해에 어려움을 느낀다면 한 학년 아래 단계로 낮춰 시작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쉬운 글부터 자신감을 쌓고 흥미를 느끼게 해주는 것이 문해력 향상에 더 도움이 됩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글을 부담 없이 즐기고 점차 읽기와 이해의 폭을 넓혀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ㅂ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문해력은 학년보다 아이의 현재 수준에 맞춰 접근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선행보다 중요한 건 글을 이해하고 즐길수 있는 경험을 쌓는 것이며 글에 관심이 적다면 한 학년 아래 수준부터 시작해도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오히려 성공 경험을 주며 자신감을 키워줄수 있어서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