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태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환 전문가입니다.

김태환 전문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로봇과 관련한 딜레마에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로봇의 3원칙은 아이작 아이모프가 소설 「아이, 로봇」에서 제시한 원칙으로 번역된 원문은 아래와 같습니다.『제1원칙, 로봇은 인간에게 해를 입혀서는 안 된다.』『제2원칙, 제1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한, 로봇은 인간의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제3원칙, 제1원칙과 제2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한, 로봇은 로봇 자신을 지켜야 한다.』질문하신 딜레마에 빠지는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해, 제1원칙이 제2원칙보다 중요하도록, 제2원칙이 제3원칙보다 중요하도록 원칙이 작성되었습니다. 말씀하신 로봇의 3원칙에서 제2원칙에 "제1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한"이라는 문구를 작성하시면 딜레마 문제가 해결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수학문제 풀이 부탁드려요ㅠㅠㅠ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하신 문제에 대한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풀이과정을 천천히 따라가시면 풀이방법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아바타가 모션캡쳐로 만들었다고 들었습니다. 이 모션캡쳐에서 몸에 붙이는 센서는 다 블루투스로 작동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션캡쳐는 기본적으로 촬영현장 벽면에 붙어있는 카메라가 몸에 붙어있는 마커를 인식하여 마커의 움직임을 기록합니다. 마커에는 별다른 센서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며, 카메라가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특수한 재질의 스티커나 페인트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3D프린터 생산속도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하신 내용은 생산량이 얼마인지에 따라 답변이 달라집니다. 위 그림은 각 생산방식별 생산량에 따른 비용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비용과 생산 시간이 비례하여, 비용이 적을수록 생산 시간도 적게 든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질문하신 프레스 공정은 위 그래프에서 Formative 공정에 해당하며, 생산량이 적을수록 해당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생산 시간이 많이 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공정을 계획하고 몰드를 별도로 구비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3D프린터(Additive 공정)는 사전 준비 작업이 필요 없어 생산량에 관계 없이 동일한 생산 시간이 소요됩니다. 만약 대량생산을 할 경우, 3D프린터는 생산 시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생산 시간의 변화가 거의 없지만, 프레스 공정은 사전 준비만 되면 제품을 빠르게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이 소요됩니다.정리하자면, 대량생산 체제가 계속 유지되는한 3D프린터가 프레스공정을 대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소품종 소량생산에 대한 시장 니즈가 조금씩 발생하고 있으며 해당 시장은 3D프린터가 적절한 솔루션이 되겠습니다. 앞으로는 프레스공정과 3D프린터가 다른 시장에서 공존할 것으로 예상합니다.참고자료: https://www.hubs.com/guides/3d-printing/
화학
화학 이미지
Q.  얼음은 영하 몇도에서 얼기 시작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은 섭씨 0도에서 얼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주변 환경의 온도를 섭씨 0도 이하로 맞춰주시기만 하면 물이 얼기 시작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쳇gpt로 코딩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ChatGPT는 2021년까지 공개된 자료를 기반으로 학습한 내용을 조합하여 결과를 그럴 듯하게 도출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내용을 조합하여 결과를 그럴 듯하게 보이도록 도출한다는 것인데, 도출된 결과가 정확한지 아닌지는 사용자가 판별하여야하기 때문에 이를 판별하는 프로그래머의 역할은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또한 2021년 이후로 새로 도입된 코딩 기법과 지식은 ChatGPT가 답변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영역은 오롯이 프로그래머들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Chat GPT가 놀랍다는데 한글 질문도 답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위 그림은 ChatGPT-3.5버전과 ChatGPT-4버전의 성능을 비교한 것입니다.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ChatGPT3.5버전의 정확도를 나타낸 것인데, 약 70% 정도의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다고 합니다. ChatGPT-4버전을 영어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약 85%의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한국어로 사용하였을 때는 3.5버전보다 높은 77%의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질문하신 분께서 ChatGPT-4버전을 한국어로 사용하고 계시다면 ChatGPT-3.5버전을 영어로 사용하실 때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참고자료: https://www.91mobiles.com/hub/gpt-4-vs-chatgpt-differences-improvements/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윷놀이 할 때 확률적으로 도개걸윷모가 나올 확률이 같은가요?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뉴스 기사에 따르면 볼록한 부분의 무게에 의해 볼록한 부분이 아래로 가고 평평한 면이 위로 나올 확률이 60%로 조금 더 높다고 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도개걸윳모가 나올 확률을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도] 0.6 X 0.4 X 0.4 X 0.4 X 4 = 0.1536 = 15.36%[개] 0.6 X 0.6 X 0.4 X 0.4 X 6 = 0.3456 = 34.56%[걸] 0.6 X 0.6 X 0.6 X 0.4 X 4 = 0.3456 = 34.56%[윷] 0.6 X 0.6 X 0.6 X 0.6 X 1 = 0.1296 = 12.96%[모] 0.4 X 0.4 X 0.4 X 0.4 X 1 = 0.0256 = 2.56%참고자료: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117251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주유기에 정전기 방지장치는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몸에 음전하가 많이 쌓여있는 상태에서 다른 물체에 손을 대었을 때 순간적으로 음전하가 다른 물체로 이동하면서 발생합니다. 이때 작은 스파크가 발생하는데, 만약 스파크 주변에 기름에서 나온 유증기가 있다면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몸에 쌓여있는 음전하를 제거해야합니다. 일반적으로 접지 역할을 하는 땅은 음전하를 빨아들이는 특성이 있어 정전기 방지 장치를 땅과 연결해놓습니다. 몸에 음전하가 많이 쌓여있는 상태에서 이 정전기 방지 장치를 만지면 해당 장치를 따라 음전하가 흘러 땅으로 빠져나갑니다. 이로써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게 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8나노면 머리카락과 비교해서 어느정도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머리카락의 굵기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0.1 밀리미터,즉 100 마이크로미터 입니다.1 나노미터는 10의 -9제곱 미터이고, 머리카락의 굵기인 0.1 밀리미터는 10의 -4제곱 미터이므로1 나노미터가 머리카락보다 10의 -5제곱 미터, 즉 10만분의 1 크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따라서 8 나노미터는 머리카락의 10만분의 8 크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참고자료: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8185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