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로봇과 관련한 딜레마에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로봇의 3원칙은 아이작 아이모프가 소설 「아이, 로봇」에서 제시한 원칙으로 번역된 원문은 아래와 같습니다.『제1원칙, 로봇은 인간에게 해를 입혀서는 안 된다.』『제2원칙, 제1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한, 로봇은 인간의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제3원칙, 제1원칙과 제2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한, 로봇은 로봇 자신을 지켜야 한다.』질문하신 딜레마에 빠지는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해, 제1원칙이 제2원칙보다 중요하도록, 제2원칙이 제3원칙보다 중요하도록 원칙이 작성되었습니다. 말씀하신 로봇의 3원칙에서 제2원칙에 "제1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한"이라는 문구를 작성하시면 딜레마 문제가 해결됩니다.
Q. 3D프린터 생산속도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하신 내용은 생산량이 얼마인지에 따라 답변이 달라집니다. 위 그림은 각 생산방식별 생산량에 따른 비용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비용과 생산 시간이 비례하여, 비용이 적을수록 생산 시간도 적게 든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질문하신 프레스 공정은 위 그래프에서 Formative 공정에 해당하며, 생산량이 적을수록 해당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생산 시간이 많이 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공정을 계획하고 몰드를 별도로 구비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3D프린터(Additive 공정)는 사전 준비 작업이 필요 없어 생산량에 관계 없이 동일한 생산 시간이 소요됩니다. 만약 대량생산을 할 경우, 3D프린터는 생산 시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생산 시간의 변화가 거의 없지만, 프레스 공정은 사전 준비만 되면 제품을 빠르게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이 소요됩니다.정리하자면, 대량생산 체제가 계속 유지되는한 3D프린터가 프레스공정을 대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소품종 소량생산에 대한 시장 니즈가 조금씩 발생하고 있으며 해당 시장은 3D프린터가 적절한 솔루션이 되겠습니다. 앞으로는 프레스공정과 3D프린터가 다른 시장에서 공존할 것으로 예상합니다.참고자료: https://www.hubs.com/guides/3d-printing/
Q. 8나노면 머리카락과 비교해서 어느정도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머리카락의 굵기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0.1 밀리미터,즉 100 마이크로미터 입니다.1 나노미터는 10의 -9제곱 미터이고, 머리카락의 굵기인 0.1 밀리미터는 10의 -4제곱 미터이므로1 나노미터가 머리카락보다 10의 -5제곱 미터, 즉 10만분의 1 크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따라서 8 나노미터는 머리카락의 10만분의 8 크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참고자료: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8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