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권기헌 전문가
가람
역사
역사 이미지
Q.  베트남이 게릴라전에 강했던 이유는 어디서 찾아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베트남은 밀림과 함께 땅굴을 기가막히게 파게 되는데요. 과거 유럽이 지하에 도시를 건설했듯이 베트남도 엄청난 개미굴 비슷하게 땅굴을 파서 이동하며 갑자기 미군을 공격하고 숨었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선조는 궁궐을 버리고 어디로 피신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선조는 왜군이 부산에 상륙하고 육군이 밀려버리자 곧장 북으로 북으로 피란을 갑니다. 국경을 넘으려 했으나 명에서 거부했고, 결국 강을 건너지 못하고 기다리게 되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은 왜 임진왜란에 대해 전쟁준비를 하지 않았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당시 조선은 명나라 중심에 의한 평화로운 상태를 유지하였습니다. 명나라 다음으로 조선이라 생각하며 평화에 물들어 있었죠. 그렇다고 일본에 대하여 완전히 모르고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일본에 다녀온 신하의 의견이 나뉘어져 준비를 하는가 마는가를 결정할 때 준비를 안 하는 쪽으로 간 것입니다. 다만, 워낙 준비가 철저한 이순신은 꾸준히 병력, 물자 등의 관리를 기본적으로 하였던 것이구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대 로마의 도로망이 당시 사회와 경제에 미친 영향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고대 로마는 현대의 도로처럼 마차가 달릴 수 있도록 길을 닦아놓았는데요. 이러한 도로망은 각지역으로 뻗어져 나가 있었고,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처럼 로마로의 접근성을 높여놓았죠. 현재도 도시를 만들 때 중앙으로 삼을 기념물, 관공서 등을 두고, 사방으로 도로를 뻗어나가도록 만들기도 하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마하트마 간디가 인도의 독립운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간디는 상위 카스트의 부자였던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결론적으로 인도의 독립운동을 민중과 함께 이끌어나간 인물입니다. 변호사로서, 사업가로서 살아갈 운명이라 생각되었던 간디는 아프리카에서 인도 이주민들의 처참한 생활을 보면서 인권에 대하여 깨닫게 되고 그들과 친해지기 위해 화장실 청소를 해주는 등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런 그는 사람들의 마음을 얻는 방법을 깨닫게 되고, 인도로 돌아와서는 영국에게, 부자들에게 고통 받는 민중들을 위해 비폭력 무저항 독립운동을 이끌게 되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경상북도 안동시나 영주시가 선비문화 중심지가 된이유?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안동 영주 지역에는 도산서원, 소수서원 같은 조선시대 사림의 뿌리라 할 수 있는 서원 중에서도 대표서원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독일과 일본의 전범행위에 반성하는 자세가 다른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독일과 일본의 지정학적이고, 범죄를 저지른 대상국이 다르다는 이유가 떠오르는데요. 독일의 경우 침략했던 국가들이 현시대에 있어서 상당한 선진국들이며 프랑스, 영국이 가장 대표적이며 독일은 자신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사과하는 자세가 중요했다면, 일본의 경우 한국, 중국, 필리핀, 대만 등 상대적으로 유럽에 비해 그러하지 못한 것이죠. 특히나 일본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으로 부터 공산당을 막기 위한 명분으로 상당한 특혜를 받고 오히려 한국전쟁으로 특수를 누리면서 나라가 빠르게 회복하고 선진국 반열에 오르게 되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인조는 어떤 임금인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인조는 광해군을 폐위하고 왕위에 올랐으나 본인의 힘이 아닌 반정에 의해서 되었기 때문에 신하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었죠. 광해군은 상당히 명과 청 사이에서 실리외교(중립)를 펼치면서 조선이 살아남을 방법을 모색했지만 인조는 명에 대한 사대만을 강조하게 되면서 결국 호란을 연달라 맞으면서 결국 삼전도의 굴욕을 맛보게 됩니다. 그만큼 국방력도 없으면서 단지 사대주의에 빠져서 결국 나라를 엄청난 재난에 빠뜨리게 만든 것이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순신장군이 .난중일기썼다는데..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난중일기는 신격화라기 보다는 이순신 장군 본인이 겪었던, 느꼈던, 꿈을 꾸었다면 꿈에 대한 이야기를 진솔하게 담아낸 것이라 할 수 있는데요. 꿈에서 어머니를 보았던가 했는 이야기를 남기셨던 것도 있다고 기억하는데요. 난중일기 자체가 왜란에 대한 내용이며, 본인이 생각하는 전쟁에 대한 일들이 꿈에서 보였을 가능성도 높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티베트불교가 우리나라에서 인정을못받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티베트불교는 라마교라고 불리기도 하면서 몽골족, 원나라 왕실이 믿었던 종파였습니다. 달라이 라마라는 종교대표자가 있는 종교이며, 현재는 중국에서 자신들의 영토라고 강력하게 관리하고 있는 지역이 티베트 입니다.
1061071081091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