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권기헌 전문가
가람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 유적지나 박물관 방문을 좋아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역사교육을 전공해서 역사 유적이나 유물에 관심이 많은 저는 아이를 데리고 전국에 있는 박물관이나 사찰을 주로 다녀옵니다. 서울국립중앙박물관, 공주부여박물관, 대구박물관, 춘천박물관 등등, 그리고 유네스코에 등재된 사찰들을 거점으로 다니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과거 신라의 삼국통일 당시 고구려와 백제는 어떻게 멸망을 시켰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사실 신라는 당나라가 아닌 고구려에 먼저 동맹을 제안했고 백제를 멸망시킬 계획을 세워 김춘추가 직접 고구려에 다녀왔으나 성과가 없어서 결국 당나라와 연합하게 되었습니다.그렇게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쳐들어가서 황산벌에서 계백의 5천 결사대가 무너지면서 백제가 멸망하고, 고구련 연개소문의 장남 연남생이 당나라에 투항하며 내부분열과 오랜 기간의 전쟁으로 약해진 고구려는 결국 나당연합군에 멸망당하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에서 사이비종교가 잘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한국 뿐만 아니라 미국 등 여러국가에서 사이비종교는 많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통일교, 대순진리교, 신천지 등등 한국에서 유명한 사이비 종교들은 과거에는 음지에 있다가 요즘은 대규모 종교행사를 하면서 자신들을 드러내고 있죠.사이비를 믿게 되는 이유는 종교의 해석에 있어서 본인에게 끌리는 내용을 내세운다든지, 아니면 사이비종교 교주에게 끌린다거나, 정신적으로 힘든 시기에 영향을 받는 등의 이유로 사이비 종교에 빠져들기도 하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과거 고조선시대에 한반도의 현재 남한이 차지하는 지역은 누가 다스리고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고조선이 만주와 한반도 북부지역을 차지하고 있을 당시 남한 지역은 진국이라는 나라가 있었습니다. 왕이 직접 다스리는 국가였으며, 진한에서 마한으로 중심지가 이동했다는 설 등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공노비의 해방에는 어떤 목적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조선말이 되면 시국이 뒤숭숭하고 탐관오리가 나오는 등 세금을 결국 내지 못하는 상민(평민)은 스스로 노비가 되기도 하고, 빌린 돈을 갚지 못해 노비가 되어 정작 세금을 낼 상민이 없어지자 공노비를 해방하여 세금을 확보할 목적이 컸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태종은 세종의 즉위 이전에 세종의 외가와 처가를 싹 날려버린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태종은 왕자의 난을 통해서 왕이 된 인물로 사병이 혁파되고 힘이 약했던 태종에게 있어서 처가에서 상당한 지원을 받게 됩니다. 그리하여 왕이 되고나서도 공신들과 처남들이 권력을 잡기도 했죠. 하지만 왕권이라면 미쳐있는 태종에게는 용납이 어려웠고 과거 고려가 외척세력에게 휘둘렸던 것도 하나의 타산지석으로 삼고 철저히 처가 쪽을 죽였는지도 모르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삼전도비에는 어떤 내용이 적혀져 있고 현재 어디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현재는 잠실 석촌호수 서호 쪽 언덕에 있으며 고종 32년 1895년에 치욕적이라 하여 땅에 묻었다가 일제강점기에 의해 다시 세워졌다가 1956년에 또 땅에 묻히고.... 1963년에 다시 세운 후 2010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져서 세워집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인조가 소현세자를 경계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소현세자는 병자호란 이후 청의 볼모로 갔었을 때 그곳에서 청의 문물과 함께 서양의 기술들을 접하게 되면서 보수적인 조선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거슬리는 상황이 되었을테죠. 청에 의해 인조가 머리를 조아리는 굴욕을 당했는데 아들인 세자가 청과 친하게 보이는 것이 말이죠. 더욱이 인조는 청에 대한 두려움, 컴플렉스가 있었을텐데 아들이 반대의 행동을 하니 더욱 멀어지고 경계했을 것 같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상민이 노비가 된다고 하면 노비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네. 상민이 노비계약을 하거나 범죄를 저지르거나 등등의 일이 있으면 노비가 될 수 있었습니다. 질문자님이 하신 말씀처럼 더이상 살기 힘들 때 노비가 되거나 도적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 인류를 뒤돌아보면은 왕이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독재자를 그리워 하는 한국인 대부분은 60, 70대정도로 보이며 과거 독재자들이 있을 때 열심히 일하고 돈벌고 가정을 꾸리며 젊은시절 땀흘리며 보낸 분들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작 중국의 독재자, 남미의 독재자 등을 보면 욕을 하지요.저분들에게 있어서 왕이라는 개념도 있겠지만 본인들의 젊은시절, 한평생의 성취가 있었다라고 보기 때문일 것 같습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