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현재 문명이가장 뒤쳐진 나라는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문명이 진보되어 있다라는 것이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 것일까요. 인터넷을 하면서 주식을 하고, 코인도 하면서 세련된 옷을 입고, 맛있는 음식을 마음껏 먹는 것이 진보된 문명일까요.사실 문명이 발달되었다. 혹은 미개인 문명이다 정도를 나눈 것은 다분히 서양에서 식민지를 개척하고, 특히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근거로 들고 지금까지도 반성을 하지 않는 논리가 자신들이 미개했던 국가를 근대화 시켜주고 사람 사는 세상을 만들어 주었다는 것이죠.하지만 문명이란 그 문명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만족하고, 개선해나가면서 모두가 살기 좋은 문명이 가장 우수하고, 바람직한 문명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Q. 민주주의 많은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굳이 단점을 들자면 뭐가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민주주의에 대해서 한동안 무감각하게 여겼지만 이번 계엄령 사태 이후에 많은 국민들이 민주주의에.대해서 더 많이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민주주의라는 것 자체가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기에 나라의 대표를 뽑아서 대의민주주의를 하느냐, 직접 민주주의를 하느냐에 따라 나뉘기도 하죠.하지만 이 민주주의라는 것 자체가 국민 모두가 정치, 경제, 사회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생각을 가져야 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국가운영이 오히려 국민들을 어렵게 할 수 있기도 합니다.
Q. 사림파는 어떻게 정치의 중심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사림은 고려말을 시작으로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서서히 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가 성종시기에 김종직, 그의 제자들을 언론기관에 등용하여 세력을 이루며 훈구파와 대립, 견제하게 됩니다.하지만 연산군대에 이르면 무오사화, 갑자사화로 인하여 숙청되기도 했으나 중종대에 조광조로 대표되는 사림이 다시 정계에 진출하죠. 그러다가 다시 기묘사화로 정권을 잃게 됩니다. 이후 다시금 명종대에 을사사화로 피해를 입기도 했으나 꾸준히 지방의 서원, 향약을 통해 성장하였습니나.그러다가 선조 대에 사림이 중용되고, 세력을 모아 정치를 주도하게 되는데 이때 부터 붕당이 나뉘어져 대립하고 이조전랑직을 두고 크나큰 바람이 불게 됩니다.
Q. 최근 난민 문제의 원인과 국제적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전세계적으로 전쟁 등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난민이라는 이름으로 자국을 떠나서 떠돌고 있는데 이러한 난민을 위해서 유엔, 각국에서 보호하기도 하고 지원을 하기도 하는데 그들에게 먹을 것, 임시로 거처할 곳 등을 제공하죠. 인류애적인 부분에서, 그리고 인구가 줄어가는 유럽의 입장에서도 난민을 선별해서 받아들이는 것도 자국에 이익이 될 수 있기도 하죠.하지만 모두가 난민에 포용적인 것은 아니며 난민이라 해서 꼭 선량한 사람이라는 생각도 맞지 않기에 여러나라가 난민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 고민 하고 있습니다.
Q. 우리나라에서 역대 세번째로 국회에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통과됐다고 하는데 이전의 두번은 언제였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국회의 탄핵소추안이 통과된 것은 지금까지 윤석열 대통령을 포함해서 3명이 있는데요.첫번째가 노무현 대통령 때이며, 두번째는 박근혜 대통령이 있습니다.노무현 대통령은 2004년 3월 12일 찬성 193표, 반대 2표로 가결되지만 헌법재판소에서 기각 됩니다.박근혜 대통령은 2016년 12월 9일 찬성 234표, 반대 56표, 기권 2표, 무효 7표로 가결되며 최종적으로 헌법재판소에서 2017년 3월 10일 전원 찬성으로 탄핵 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