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조상님들은 왜 대마도에 진출을 하지 않았을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대마도는 현재 쓰시마섬으로 불리우는 일본의 입장에서는 정말 작은 섬에 불과하면서 개발도 잘 되지 않은 섬이지만, 과거에는 일본의 해적 왜구가 본거지로 삼던 곳이었습니다. 이러한 대마도는 일본과 한반도 사이에 위치해 있어서 일본 입장에서는 한반도와의 거래에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었습니다.하지만 대마도는 산지로 되어 있는 지형임과 동시에 평지가 많지 않아서 고려, 조선의 입장에서 큰 매리트가 없는 땅이었고, 왜구가 본거지로 삼았기 때문에 고려 우왕시기, 조선 세종 시기 등 정벌을 단행한 기록이 있었습니다.
Q. 요즘 아이들이 디즈니를 보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제가 어릴적에만 해도 디즈니에서 만든 여러가지 만화영화가 텔레비젼에서 자주 방영도 해주고, 우리가 옛날 이야기를 듣듯이 백설공주, 신데렐라와 같은 이야기를 자주 접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꼭 디즈니 만화가 아니더라도 아이들이 접할 수 있는 매체가 너무나도 다양해졌고, 특별히 디즈니 만화가 아이들의 교육에 좋다거나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도 아니게 되었죠.요즘 어른들의 관점에서 인어공주가 흑인으로 대체되고, 히어로가 여성으로 대체되는 부분 또한 거리감을 느끼게 만드는 것도 사실 같습니다.
Q. 현대사회에서 뚫린 동전이 없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옛날에는 기본화폐 자체가 엽전이었기에 엽전을 가지고 다닐려면 1개가 필요하면 모를까 다량이 필요하면 결국 이를 목걸이처럼 꿰어서 다녀야 편리하고, 갯수에 맞게 꿰어놓으면 셈하기도 편하였을것이죠.하지만 현대사회는 인플레이션과 함께 동전 단위로 계산할 수 있는 것 보다 더 큰 금액이 유통되기에 동전 보다는 지폐의 활용성이 훨씬 커졌죠.그렇기에 동전을 꿰어서 쓸 필요도 없으면서 동전에 초상화, 그림 등을 표현하기에도 구멍이 없는 것이 더 편리할 것이고, 구멍을 따로 만들어야 하는 노력도 줄게 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