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자살율이 높은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흔히 알려진 이야기로 미국이나 해외에서는 불만이 쌓여서, 도저히 참을 수 없는 끝자락에 가면 문제를 일으킨 상대방을 제거하려 하지만 대한민국은 피해를 본 스스로가 자살로 끝을 낸다고들 하죠. 요즘 많이 발생하는 보이스피싱을 보더라도 피싱범을 욕하는 것과 함께 속은, 피해를 받은 피해자를 똑똑하지 못하다 어리석어서 사기를 당했다라는 말들로 피해자를 탓하기도 하죠. 이러한 현상이 사회 전반적으로 퍼져 있기 때문에 어떤 일이 발생해서 도저히 해결이 어려운 상황에서 주변에 이야기 해도 해결이 되지 않는, 또는 말하지 못하고 본인을 탓하는 단계에 다다르면 결국 자살로 귀결되는 것이죠.
Q. 고고학적 발견은 현대 국가의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고고학적인 발견이 국가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오히려 현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의 정체성을 찾는 계기가 되는 것이라 생각되는데요. 흔히 말하듯이 민족, 정신, 국가의 뿌리를 찾는다는 것과 같은데, 고고학적인 발굴을 통해서 우리가 생각만으로, 기록만으로 전승되어온 우리 과거의 역사를 유물을 통해서 실증할 수 있고, 몰랐던 과거를 발굴을 통해서 새롭게 알아냄으로써 현대인들의 뿌리를 찾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하죠.
Q. 루이16세는 왜 프랑스혁명을 막지 못했을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프랑스혁명이 일어날 시기는 직전까지도 7년 전쟁 뿐만 아니라 미국의 독립혁명에 까지 지원을 나서면서 재정이 파탄에 이르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 속에서도 특권층의 부귀, 향락은 이어졌지만 하층민이나 성장하던 부르주아들의 착취가 상당했습니다. 여러가지 개혁을 시도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제한적이었고, 의지가 부족했기에 종국에 가서는 혁명세력을 막을 힘이나, 명분도 없어지게 되었던 것입니다.
Q. 1868년 병인양요의 발생 과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흥선대원군이 정권을 잡고 있던 시기 가장 대표적인 상징이 "척화"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존 조선의 유교, 성리학적인 체제를 흔들 수 있는 서학, 서양의 신분제라든지, 종교 같은 것들은 신분제 사회였던 조선의 기초를 흔드는 것이었죠. 그러던 중 1866년 천주교 금지령을 내리고 프랑스 선교사, 조선의 천주교 신자를 살해하고 박해함으로써 이에 대한 대응으로 프랑스에서 군대를 보내어 강화도를 공격하게 했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조선군의 선전으로 정족산성에서 프랑스군을 격퇴하자 프랑스군은 한달 정도 강화도에서 버티다가 약탈 후 돌아가게 됩니다.
Q. 한나라 시기 철기 농기구와 우경의 보급은 농업 발전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영국의 산업혁명으로 단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산업이 기계화, 고도화 되었으며, 엄청난 속도로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는 의의가 있죠. 하지만 이러한 혁명 보다도 대단했던 것이 농경에서 철기를 사용하고, 소를 이용한 우경이 이루어졌다는 것인데, 그 전에는 돌을 이용해서 나무와 엮어서 무엇인가를 했었기에 정밀성, 강도면에서도 부족했고 오히려 일정한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이 어려웠죠. 또한 사람이 직접 쟁기를 끌거나 밭, 논을 갈아야 했기에 단위 면적당 노동력이 인간의 숫자에 비례 했지만 철기를 사용하게 되면서 정교하면서 튼튼한 농기구로 보다 쉽게 농경을 할 수 있었고, 소를 이용하면서 더이상 인간의 노동력(숫자)가 중요하기 보다는 소를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가 중요해졌습니다. 소 한마리가 쟁기를 끌 수 있는 면적이나 노동 시간이 인간에 비해서 훨씬 효율적이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