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렁이도 눈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지렁이는 비오는날만 되면 땅위로 올라오는데요.
근데 지렁이도 눈이 있나요? 그냥 지렁이를 보면 눈이 없는것처럼 보이는데 말이죠.
감사합니다.
지렁이는 사람이나 타 동물들처럼 눈과 같은 복잡한 기관은 없습니다.
대신 빛을 감지할 수 있는 감광 세포를 가지고 있어서, 빛을 감지하죠.
이러한 능력으로 밝은곳과 어두운곳, 낮과 밤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지렁이가 비오는날 땅위로 올라오는 것은 마냥 어둡기만 해서는 아니고
비가 와서 땅속이 물이 많아지면 산소가 부족해지기도 하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것처럼 지렁이는 겉으로 보기에는 눈이 전혀 없어 보이며 물론사람이나 동물처럼 정교한 눈은 없습니다. 대신 빛을 감지할 수 있는 감각세포인 광수용체가 피부에 분포해 있는데요, 지렁이의 피부에는 빛에 민감한 세포가 흩어져 있어 밝고 어두움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렁이는 형체를 보는 시각은 없지만, 빛이 비치는 방향이나 강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 지렁이는 빛을 싫어해서, 햇볕에 노출되면 수분이 빨리 증발하고 포식자에게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다시 흙 속으로 파고들려고 합니다.
또한 비 오는 날 지렁이가 땅 위로 나오는 이유는 비가 오면 흙 속에 물이 차면서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기 때문인데요, 지렁이는 피부로 호흡하기 때문에, 숨쉬기 힘들어지면 땅 위로 올라옵니다. 동시에 빗방울이 땅을 치는 진동이 천적의 움직임과 비슷해 지렁이가 피난하는 행동을 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지렁이는 눈의 형태를 갖춘 기관은 없지만, 빛을 감지할 수 있는 광수용기 세포가 피부 전체에 분포해 있습니다. 이 세포들을 통해 눈처럼 사물을 보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빛의 유무나 강도는 인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렁이는 빛을 피해 어두운 흙 속으로 파고 들어가 포식자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피부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생존합니다.
지렁이에 눈은 없습니다.
대신 사람이나 다른 동물의 눈처럼 빛을 감지하는 감각 세포가 피부 전체에 퍼져 있습니다. 이 세포 덕분에 빛의 유무와 강도를 느낄 수 있죠.
하지만, 비 오는 날 땅 위로 올라오는 것은 눈의 유무 때문이 아니라, 호흡 문제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