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3

우리나라가 동방예의지국이 된 계기가있나요?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이라는 표현을 많이하는데 무엇 때문에 동방예의지국이라고 하게 되었나요? 어제부터 동방예의지국이 되었는지 그 계기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옛날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웃어른에게 예의 바르게 말하고 행동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동쪽에 있는(東方) 예의에 밝은 나라(禮儀之國)'라는 뜻으로 '동방예의지국'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예의 [etiquette, manners] (천재학습백과 초등 국어 용어사전)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23.02.23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옛날 부터 어른들을 공경하였씀으로 그렇기 때문에 예의가 바르다고 하였습니다

    중국에서 동쪽에 있는 예의 밝은 나라라고 칭해서 부터 시작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오늘날 아득한 옛날의 향수로는 있으나, 지금은 그 예의문화를 찾을 길이 없다는 사실이 누구에게나 안타깝게 다가온

    현실로 되었다.

    단군시대의 동방예의지국에 대하여

    이렇게 적고 있다. "동방에 오래된

    나라가 있는데, 이를 동이(東夷)라 하며, 훌륭한 단군이 계셨는데... 동이는 그

    나라가 크지만, 남의 나라를 업신여기지 않고, 나라의 군대가 강했지만

    다른 나라를 침범하지 않았다.

    풍속이 순박하고 후덕해서 길가는

    이들에게 양보하고 음식을 서로

    양보하며, 남자와 여자가 따로 거처해

    함부로 섞이지 않으니, 가히

    '동방예의군자국'이라고 할 수 있다.

    해서 은나라 기자가 주나라 신하가

    되지 않고 단군조선으로 갔다."

    이로부터 동방예의지국이란 말에서

    시작된 것 같다.

    -출처: 가정문화회복프로젝트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동방예의지국이 된 계기는 조선시대 중기인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부터의 외교적인 활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시기에 조선 왕조는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양 주요국가들과 교류하면서 동양 예의와 관습을 익히고, 그것을 지키며 사회적인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조선 왕조는 외교적인 교류에서 동양 예의와 규율을 중요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국가간의 관계를 유지하고자 했습니다.

    조선시대의 동방예의지국은 이후 19세기와 20세기 초까지 이어졌습니다. 이 시기에는 일본의 도입적인 적극외교와 서구 문명의 수용 등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조선은 동양 예의의 유지와 보존을 중요시하며, 서구 문명의 도입에 대해서는 비교적 소극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이러한 조선의 동양 예의와 규율에 대한 인식은 조선 말기에 이르러 대한제국의 탄생과 이후의 국제적인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대한제국은 동양 예의와 규율을 중요시하면서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국제적인 입지를 높였습니다. 이후 대한민국 정부도 동양 예의와 규율을 중요시하면서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외교적인 교류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웃어른에게 예의바르게 말하고 행동하는 것을 중요시 여겼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동쪽에 있는 예의에 밝은 나라라는 뜻으로 동방예의지국이라 불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동방예의지국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중국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문화는 고대부터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백제, 신라, 고구려 등 다양한 국가와의 교류를 통해 발전해 왔습니다. 특히 고려 시대에는 중국과의 정치, 경제, 문화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중국의 문화와 지식이 우리나라로 전파되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중국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그 결과 동양에서 예의와 질서를 중시하는 문화적 특성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우리나라가 이러한 동양적인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서구적인 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방예의지국이라는 표현은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적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현재의 우리나라를 완전히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