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산에서 내려온 족제비
산에서 내려온 족제비24.04.10

아이의 게임 중독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아이가 아무래도 게임 중독이 된거 같은데 중독인지 아니면 좋아하는 것인지 잘 분간이 되지 않는데 아이의 게임 중독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게임 중독의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게임에 중독되면 게임에 집착하고,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가 악화되며, 만성피로에 시달리는 등의 여러 증상이 나타나므로 중독이 의심된다면 부모님이나 선생님, 게임중독상담센터 등에 상의해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즉 게임으로 인해서 일상생활에 문제가 생긴다면 중독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게임에 중독되면 가족들과 대화를 하지 않고 성적(학습)이 떨어지는 등 여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들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사회에서 격리될 수밖에 없는 심각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스스로를 돌아보고 이런 증상이 보인다면 바로 부모님이나 선생님, 게임중독상담센터 등에 상담을 하고 반드시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가진단은 스마트쉼센터(www.iapc.or.kr)와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www.cyber1388.kr)에서 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게임중독의 기준은 게임에 대한 지속적인 생각을 하고 게임을 하지 않을때 불안과 초조함을 느끼며 게임시간이 점점 늘어나는 것입니다. 또한 게임을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을 상실하거나 주변의 부정적인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게임에 과몰입하며 몰두하는 경우라고 할수 있습니다. 아이가 게임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다보면 집중력저하나 학습에 대한 흥미도및 다른부정적인 영향을 받을수 있으니 아이와 대화를 통해 일정한 시간제한과 규칙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게임시간을 최소로 줄이고 다른 활동을 할수 있도록 유도하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다른 중독과비슷합니다

    타활동을하지않고오롯하게하나만집중하여

    일상생활영위가되지않을때로보는게좋아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게임을 중단하려고 해도 쉽게 중단하지 못하며, 게임을 하지 않으면 불안감이나 금단증상을 보이면 중독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집에서 중독의 기준을 체크할때 유심히 보아야할것은 조절입니다

    아이에게 게임시간을 정하고 게임을 하는데 조절을 못하는 모습이나 크게 감정적으로 동요하는모습을보이거나

    아이가 게임외에는 다른활동을 하지 않고 식사나 수면역시 좋지 않은경우 의심해볼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게임중독 이라는 것은 한 시도 게임과 떨어지지 않고, 하루 온 종일 게임만 할 때 중독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게임을 하면서 그만 해야지 라고 말을 할 때 아이가 Stop을 하는 경우라면 어느 정도 중재와 제지는 그리고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라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아이에게 게임을 많이 하면 왜 안 좋은지 그 이유를 정확히 알려주세요.

    아이와 함께 앉아서 게임 적정시간을 함께 정하여 보고 게임 적정시간을 어기면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아이가 자신이 한 약속을 잘 지킬 수 있도록 지도하여 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