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환원 반응이 금속 부식 방지 및 표면 처리 산업에 적용되고 있는 방식은?
안녕하십니까.
재료의 부식은 산업 손실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산화환원 반응이 금속 부식 방지 및 표면 처리 산업에 적용되는 방식은 무엇인지 전문가 분들의 의견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금속 부식은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발생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해 산업에서는 음극 보호나 도금 표면 패시베이션 같은 기술을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아연 도금은 철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산화환원 반응에서 안연이 먼저 산화되도록 유도해 줍니다
안녕하세요. 산화랑 환원 반응은 부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근데 이걸 이용해서 부식을 막는데 쓰기도 합니다. 철에 아연 같은 금속을 붙여두면 아연이 먼저 녹기 때문에 철을 대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 도금할 때 금속 이온이 전기로 환원돼서 표면에 달라붙고, 알루미늄은 표면을 살짝 산화시켜 단단한 막을 만들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화 박사입니다.
산화환원 반응은 금속 부식의 원인이자 동시에 부식을 제어하는데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부식을 방지할 때 쓰이는 게 음극 보호 기술입니다. 보통 철 구조물에서 아연이나 마그네슘 같은 희생양극을 연결해서 이 금속이 먼저 산화되도록 해서 철이 환원 상태로 유지되며 부식을 억제하는 방식이죠.
표면 처리 분야를 보면 전기도금 기술이라고 들어보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산화환원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죠. 전해질 속에서 금속 이온이 환원되어 표면에 균일하게 도금되거나 알루미늄 표면을 산화시켜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그런 기술이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