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귀한아비83
귀한아비8322.10.26

언제 초등학교로 변경되었고 이유가 무엇인가요?

회사에서 국민학교 초등학교다녔냐를 두고 얘기나누다 문득 언제 바뀌었는지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초등이란 단어로 바뀌게 된 이유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헐크매니아입니다.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바뀐 것은 1996년부터 입니다.

    1996년에 입학한 사람들부터 바뀌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바뀐 이유는 국민학교라는 단어의 의미가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다니는 학교가 아니라,

    일본 천황의 국민이 다니는 학교라는 뜻이었기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꾀꼬리입니다.국민학교는 우리나라 초등교육기관의 명칭으로 1941년부터 1995년까지 사용되었으며 명칭 자체가 독일의 전체주의 교육을 상징했던 "폴크스슐레"(Volksschulle)에서 기원했고 일제 잔재란 이유로 1996년3월1일부터 초등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6

    안녕하세요. 듬직한거위234입니다.

    1996년에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변경됐으며 이유는 국민학교가 일제강점점령기에 황국신민학교로 일본인이 다니는 학교의 뜻으로 "황과신"자가 빠져서 국민학교가 되었으며 1996년 이전까지 유지가 되었던 것입니다.


  • 김영삼 대통령시절 많은 일이 있었죠.

    옛 조선총독부 건물도 철거 되었고요.


    1995년 8월 11일, 광복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일제의 잔재를 깨끗이 청산하고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기 위해 국민학교의 명칭을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국민학교 명칭의 대안으로는 초등학교, 소학교, 기초학교, 어린이학교, 새싹학교, 으뜸학교 등이 제시되었고, 여론조사에서는 초등학교가 45.6%의 가장 높은 지지[11]를 받았다. 이는 이미 교육법에서 초등교육기관(국민학교), 중등교육기관(중학교, 고등학교), 고등교육기관(전문대학 및 대학교)으로 구분하였기 때문에 국민학교=초등교육기관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당해 12월 29일 개정된 교육법에서는 1996년 3월 1일부터 초등학교로 명칭을 바꾸기로 하였다


  • 안녕하세요. 호화로운호박벌145입니다.

    1996년 3월 1일부터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불렸고, 이렇게 바뀌게 된 이유는 일제강점기때에 그냥 보통학교라고 불렸었는데 그걸 국민학교로 변경하였기 때문입니다.

    여기서의 국민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그 국민이 아니라 일본 천황의 국민이 다니는 학교라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비오는 날입니다.

    1996년도에 변경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국민학교라고 했었는데, 일제시대 잔재이기 때문에 명칭 변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