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화사한펭귄61
화사한펭귄6123.04.23

위내시경하다가 용종 발견시 조치

나이
45
성별
남성

건강 검진하다가 위내시경 검사를 하면서 용종이 발견되면 제거를 한다는데 어떤 경우에 제거를 하고 어떤 경우에 안하는지 기준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용종의 크기나 개수, 검사를 한 기관의 상황에 따라서 다양합니다. 그래서 일관된 기준으로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검진 할 때 크기가 큰 용종이 발견되면 용종 제거를 할 수 있고 입원이 가능한 병원으로 안내해 드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검진을 하면서 용종을 제거하지 않고 타병원에서 용종 제거술 여부를 상의하시도록 안내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

    용종의 크기와 위치, 모양, 해당 병원의 설비, 백업할 수 있는 과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거시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보이는 용종의 경우, 동네 내과에서는 제거가 어렵습니다. 천공 등 수술이 필요한 합병증 발생시 백업해줄 일반외과나 활력징후를 유지할 설비가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크기가 크고 깊이가 깊어 내시경적으로 제거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 건강 검진을 목적으로 하여 위 내시경 검사를 시행할 때에 용종이 발견되게 된다면 무조건 제거 및 조직 검사를 하여야 합니다. 다만 내시경에서 발견된 용종의 크기가 많이 크다면 검진 단계에서 바로 제거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추후에 철저하게 계획을 한 이후에 제거 시술을 다시 진행하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위내시경을 할 때는 대부분의 용종은 제거하지 않고 조직 검사만 합니다. 왜냐면 양성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지요. 대장 내시경을 할 때 나오는 용종은 1cm미만이면 일단 제거를 합니다. 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지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위내시경 중 발견된 용종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용종이 육안으로 보기에도 양성이 확실하다면 조직학적인 진단(조직검사)를 하기 전 한번에 제거를 시도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육안으로 악성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 완전한 제거를 시도하기 이전에 조직검사를 먼저 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조직검사만 시행했지 용종을 제거한 것은 아니겠지요.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용종은 대부분 양성종양입니다. 하지만 일부에서 악성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모두 제거하는게 맞습니다.

    제거시 환자나 보호자 동의가 필요한데 동의를 못 구한 상황이 아니라면 다 제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