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나무777
나무777
24.01.29

고려시대때 까지는 북진의 기상이 있고 중국에 대한 사대가 없었는데, 왜

고려시대때까지는 옛고구려의 기상이 있어 북진을 꿈꾸었는데, 조선으로 넘어 오며 옛 기상이 꺽이고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 뚜렸해지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4.02.01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 중국은 동아시아의 질서에서 마치 현재의 미국과 같은 위상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면 됩니다.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로 넘어가며 국제적인 무역이 더욱 더 중요해졌고 대부분의 무역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지금 한국과 미국의 관계처럼 조선과 명나라의 관계도 사대관계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는 불교국가였지만 조선은 중국의 유교를 국가이념으로 삼으며 중국을 주군으로 모시게됐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에도 중국에 대한 사대가 없었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성리학 등이 대두되면서 중국에 대한 사대가

    더 심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