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9.05

산소없이도 살 수 있는 생물이 있나요?

산소는 생명에 가장 필요한 요소중 한가지죠

그런대 산소가 없다면 생명체가 살아갈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산소가 없이도 살아가는데 불편함이 없는 생물도 존재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보통은 혐기성 세균(산소를 싫어하는 곧 산소를 쓰지 않는 세균)을 가리키는데 생각보다 많습니다.

    혐기성 세균

    대부분은 진화의 방향을 틀어서 호기성 세균과 다른 길을 걸어온 것이다. 대부분 생물들이 호흡을 할 때 산소를 최종 전자의 수용체로써 쓰는 것과는 달리 혐기성 세균은 산소가 아닌 다른 기질들, 가령 황 이온이나 질산, 암모니아 등을 쓰는 것이다. 호흡은 쉽게 말해서 우리가 얻은, 생물이 얻은 다양한 영양분들을 갖가지 효소들을 이용해서 잘게 분해하고 그것을 체내의 생체 에너지인 ATP로 변환시키는 과정이다.

    이 때 모든 생물은 해당 과정이란 기초 과정을 거치게 되어 있다. 하지만 이 해당 과정에서는 따로이 산소가 소비되지 않기 때문에 혐기성이나 호기성이나 혹은 부패 생물이나 다 해당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마지막 단계인 전자 전달계다. 영양분을 분해해서 에너지를 환원한 NADH2나 FADH2 등의 물질들이 전자를 전자전달계의 단백질 복합체들에 넘기고 이게 H+ 즉 양성자를 퍼내면서 ATP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전달된 전자가 호기성 세균에서는 반드시 산소라는 최종 수용체와 결합해서 물이 만들어져야만 다음 전자가 와서 ATP를 계속해서 만들 수가 있다. 우리가 산소를 얻지 못하면 마지막 단백질이 전자를 산소로 전달시키는 과정을 방해하게 되므로 죽게 된다. 그러나 혐기성 세균의 경우에는 이 최종 전자 수용체의 역할을 산소가 아닌 다른 물질을 쓰기 때문에 산소가 없어도 잘만 살아가는 것이다. 대신 최종 산물에는 물이 아닌 이산화황이나 이산화질소 등의 유독한 기체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