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편안한영앙129
편안한영앙12923.04.19

광케이블의 원리가 너무 궁금합니다 .

요즘은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티비도 송출하고 하는지 이런 광케이블은 어떻게 해서 그렇게 빠른전송이 가능한가요? 광케이블에 어떤 과학적인원리가 숨어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광케이블은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로, 광섬유를 이용하여 전송합니다. 광섬유 안쪽의 코어와 클래딩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하여 빛을 직선적으로 전송하며, 외부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과 전송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쇠가 적어지는 이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네트워크나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광케이블은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바꾸어 유리섬유를 통하여 전달하는 케이블입니다. 광케이블 안에 머리카락 굵기 정도의 코어 안에 빛을 투과시켜 빛의 굴절로 통신되는 방식입니다. 코어의 굵기가 작을수록 빛을 굴절 각도가 작아져서 더 멀리까지 통신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광케이블은 빛의 반사와 굴절률을 이용합니다.

    빛은 균일한 매질에서 직진하고, 서로 다른 매질의 경계면에서는 입사한 빛 중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굴절됩니다.

    광케이블에 사용된 광섬유는 코어와 클래딩을 이용하여 광신호를 보내 통신하며, 버퍼와 자켓은 코어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중심층의 코어에 빛을 신호로 보내고 코어를 둘러싼 클래드 경계면에서 굴절률의 차가 생기며 반대쪽 클래드면으로 반사되는 내부 전반사를 이용하여 신호를 목적지까지 보내 통신을 할 수 있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광케이블은 광섬유와 같은 광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입니다. 광케이블은 전기 신호가 아닌 빛(광)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또한 전기적인 신호보다 더 높은 전송 속도와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광케이블의 원리는 심플합니다. 광케이블은 광섬유라는 특수한 유리섬유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광섬유는 실링으로 둘러싸인 핵과 핵 주변을 둘러싸는 클래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데이터 전송은 광 발생기에서 생성된 광 신호를 광섬유의 핵에 전송합니다. 광섬유 내부에서 광은 핵과 클래딩의 경계면에서 반사와 굴절을 반복하면서 전송됩니다. 이 과정에서 광의 속도는 광섬유 내부에서 유리의 굴절률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예를 들어, 정보를 전송할 때는 빛의 켜짐/꺼짐 여부를 이용하여 0과 1을 표현합니다.

    또한, 광섬유는 전기 신호와 달리 전자기파를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간섭을 받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광케이블은 전기적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광케이블은 전기가 아닌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입니다 이 케이블은 빛의 특성을 이용하여 설계되어 있어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광케이블은 두 가지 매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바깥쪽 매질은 빛이 전달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굴절률이 큰 재질로 만들어졌고, 안쪽 매질은 굴절률이 작아 빛이 전반사되어 케이블 안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 구조로인해 빛이 케이블 안을 움직일 때 완벽한 전송을 보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광케이블의 원리를 알려면 전반사에 관한걸 알아야합니다.


    빛이 굴절율이 큰 매질에서 굴절률이 작은 매질로 진행할 때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클 경우 경계면에서 전부 반사(100% 반사)되는 현상이다.


    이렇게 해서 케이블의 겉부분에는 굴절율이 작은 녀석을두고 안쪽에는 굴절율이 큰녀석을두면 전반사가 계속적으로 일어나서 케이블을 타고 가는거죠.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컴퓨터와 같은 기기가 정보를 보내는 경우, 이 데이터는 전기 에너지의 형태로 출발합니다. 발광led를 이용해 컴퓨터의 신호를 광자, 즉 작은 전자기 에너지 입자인 빛으로 변환시켜 머리카락 두께의 광섬유 속 코어를 통해 빠르게 연속해서 보냅니다. 광자는 광섬유의 코어를 따라 파동을 통해 이동합니다. 그리고 수신처에서는 수광소자를 통해 이 빛을 컴퓨터의 신호로 복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 광케이블의 원리를 알려면 전반사에 관한걸 알아야합니다.

    빛이 굴절률이 큰 매질에서 굴절률이 작은 매질로 진행할 때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클 경우 경계면에서 전부 반사(100% 반사)되는 현상이다.

    광케이블이 90도 정도 구부러져 있을 때 입사각이 전반사를 이루는 각도보다 작으면 전반사가 일어나지 않고 굵은 광선이 광섬유 밖으로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광케이블은 물리적인 전반사를 베이스로 작동됩니다.

    전반사는 광선이 수평각으로 광밀도가 높은 재료와 광밀도가 낮은 재료 사이의 경계층에 입사되면, 광선은 손실이 거의 없이 모두 반사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광케이블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해줍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광케이블은 광섬유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법입니다.


    광섬유는 광섬유 내부와 외부를 서로 다른 밀도와 굴절률을 가지는 유리섬유로 제작하는데요.


    일단 한번 들어간 빛이 다시 전반사를 하며 진행하도록 만든 것입니다.


    기존 사용되던 구리선보다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더 멀리까지 전달할 수 있다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