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4.03.11

최만리가 한글창제를 반대했던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세종대왕 치세 시절 집현전의 수장은 최만리입니다.

집현전은 세종대왕이 만든 학문 연구 기관인데 그 곳의 수장인 최만리는 왜 한글창제를 반대했던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화의 제도를 따랐으나 지금와서 언문을 만드는 것은 중화를 사모하는 데 부끄럽다는 이야기이며, 언문을 만드는 것은 오랑캐처럼 되는 것이라 생각했기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 최만리가 올린 상소문을 요약하자면

    언문이 배우기 쉽다는 점을 장점이라 하셨는데

    그런데 이런 한족의 한문과는 아무 상관 없는 글자를 만든다면

    그 글자를 익히느라 한문공부가 소홀해지며

    결과적으로 학자들의 질이 추락할 수 있고

    중국측에서도 당연히 좋게 생각하지 않을 태니 외교적인 문제가 생길 것이며

    동음이의어가 참 많은데 뜻이 구분되는 한자가 아니라 언문만을 쓴 서류를 보고 오류가 생길 수 있다

    안그래도 세자도 바쁘고 우리도 바쁜대 갑자기 사전 상의도 없이 이런 큰일 떠넘기면 어쩌란 거냐

    정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언문=한글)

    당시 중국의 한족문화는 누구도 부정못할 세계 최고의 문화였고

    동음이의어 때문에 오해생기는건 실제로 지금도 일어나는 일이니 일리가 있는 말이었죠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전체를 전체를 지배한 기본적인 사상은 성리학이었다. 그것의 기본적 외교 방침의 하나는 사대(事大)입니다. 최만리의 핵심적 논리는 바로 사대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한글 창제를 반대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만리는 1443년에 (훈민정음) 창제되자 다음해인 1444년에 6조목의 이유를 들어 이를 반대하였는데 그가 반대한 여섯 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대로 중국의 문물을 본받고 섬기며 사는 처지에 한자와는 이질적인 소리 글자를 만드는 것은 중국에 대해서 부끄러운 일이고 둘째 하자를 제외하고 다른 글자를 만드는 것은 오랑캐만 하는 일이고 셋째 새 글자는 문화적인 질적 하락을 가져 올 것이고 넷째 송사에 억울함이 생기는 것은 한자가 어려워서가 아니다 다섯째, 새 글자는 온 국민의 뜻을 따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다 , 마지막으로 학문에 몰두해야 할 세자 ( 무종) 이 새로운 것을 정력을 쏟는 것은 옳지 못하다라는 이유로 반대를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