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금쪽같은홍여새204
금쪽같은홍여새20422.08.15

태풍은 어떻게 생성이 되는것인가요?

태풍의 생성은 어디서 어떻게 되는것인가요? 우리나라기준으로 태풍은 거의 밑에서 올라오는거같은데 우리나라보다 위에서 생성될 순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15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지구로 오는 태양열에 의해 발생됩니다. 태양열은 저위도와 고위도가 받는양이 다르게 되고 이로인해 에너지의 불균형이 발생되고, 기압도 변화되어 이에 대한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대기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이 태풍입니다.


    태풍은 거대한 수증기의 열에너지가 반시계방향으로(남반구는 시계방향) 돌면서 회전하는 운동에너지로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태풍은 발생된 해수면의 온도가 높을수록 수증기가 많을수록 비도 많아지고 세력도 커집니다. 그로인해 기압차도 커져 바람의 세기도 강해 집니다.


    바다의 해수면 온도가 일년중 가장 높을때는 8월말에서 9월 입니다. 하여 증발되는 수증기도 가장 많은 때 입니다. 태풍의 발생과 에너지원은 열과 수증기 이므로 바다에 열과 수증기가 가장많은 9월경에 강력한 태풍이 많이 발생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적도부근 강력한 상승기류에 의해 수증기가 상공에 축적됩니다.
    지구자전의 영향을 받아 회전력을 받게되고 구름을 한곳으로 모읍니다.
    이렇게 되면서 거대한 비구름을 형성합니다.

    적도부근에서 가장 많은 태양에너지를 모을 수 있으므로 대부분 적도에서 발생하고,
    가끔 중국넓은대륙에서 상승기류가 발생할 때 회오리바람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의 고도각이 높아 많은 에너지를 축적한 적도부근의 바다에서는 대류구름들이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대류구름들이 모여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 부릅니다.

    태풍은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공급받아 강도를 유지하면서 고위도로 이동하게 됩니다.

    태풍은 저위도 지방의 따듯한 공기가 바다로부터 수증기를 공급받으면서 강한 비바람을 동반하며 고위도로 이동하는 기상 현상입니다.

    즉, 태풍 자체는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올라오게 되어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북쪽에서 태풍이 오지 않는 이유는 주로 남·북위 5°~25° 사이의 열대 해상의 바닷물의 온도가 27℃가 넘는 지역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위도는 38도 근처이니 우리나라의 남쪽에서 태풍이 올라오는 겁니다.


  • 태풍은 기후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특히 고온이면서 습기가 많은 공기가 조건부로 불안정한 환경에서 상승하게 될 때 형성됩니다.

    지면에서 수직으로 적란운의 숨은 열이 구름 속의 공기를 데우게 되면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점점 커지면 태풍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