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
헌법소원청구하는 방법 좀 도와 주세요
위헌심사형헌법소원
(2) 법률의 헌법소원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될 것
구체적인 사건이 법원에 계속중이어야 하고, 위헌 여부가 문제되는 법률 또는 법률조항이 당해 소송사건에 적용되는 법률이어야 하며 그 위헌여부에 따라 재판의 주문이 달라지거나 재판의 내용과 효력에 관한 법률적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에 청구할 수 있다.
너무 어려운데요. 왜 이리 어렵게 해 놓은 걸까요? 아무나 막 못 하게 하네요
재판중이어야 할 수 있다는 것인가요? 위헌법률로 의심되는 법률이 있다면 어떤 소송을 걸어야 하나요?
국민연금법에 평등의 원칙에 어긋나는 조항이 있는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래 내용은 문의내용에 기초하여 작성된 것으로, 구체적인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헌법소원을 남발하게 되면, 헌법재판소 업무가 마비되고, 판단대상이 아닌 부분에 관한 청구가 들어올 수 있어 절차를 만들어 높는 것입니다.
질문자님이 기재한 것은 위헌법률심판청구로 재판 중 해당 재판에 전제가 된 법률의 위헌여부를 다투는 것이고, 법률로 인하여 곧바로 기본권의 제한이 있다면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에 따라 곧바로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변호사 강제주의가 적용되어 변호사를 선임하셔야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재 변호사입니다.
헌법 재판은 당사자 소송을 할 수 없고 변호사를 반드시 선임하여야만 소송이 가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