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
노조의 단체협상이 가입된 조합원들만 적용해도 문제 없나요?
복수노조일 경우 교섭노조가 단체협상을 체결 한 후 작용받는 대상을 대표노조에 가입된 조합원들에 한해서만 적용될 수 있도록 해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나요?
비조합원이나 타 조합원들은 동일한 혜택을 적용받지 않도록 합의 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김성훈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래 내용은 답변내용에 기초하여 작성된 것으로, 구체적인 사정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단체협약은 원칙적으로 그 체결당사자인 사용자와 노동조합 및 그 노동조합의 조합원에게만 효력이 미치나, 예외적으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35조는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 상시 사용되는 동종의 근로자 반수 이상이 하나의 단체협약의 적용을 받게 된 때에는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 사용되는 다른 동종의 근로자에 대하여도 당해 단체협약이 적용된다"고 규정해 단체협약의 일반적 구속력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법원은 "노조법 제35조의 규정에 따라 단체협약의 일반적 구속력으로서 그 적용을 받게 되는 '동종의 근로자'라 함은 당해 단체협약의 규정에 의하여 그 협약의 적용이 예상되는 자를 가리키며, 단체협약의 규정에 의하여 조합원의 자격이 없는 자는 단체협약의 적용이 예상된다고 할 수 없어 단체협약의 적용을 받지 아니한다"고 판시해 "당해 단체협약의 규정에 의하여 그 협약의 적용이 예상되는 자"에 대해 단체협약이 적용된다고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