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물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일반 바닥과 얼음의 마찰력 차이가 있는 이유가 뭔가요?

물이 얼면 얼음이 되는데, 이 위 표면은 매우 미끄러운데요.

일반 바닥과 이 얼음의 마찰력이 차이나는 이유가 뭔가요?

얼음만큼 매끄러운 바닥도 얼음만큼 미끄럽지는 않은거 같습니다.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이유는 물층 생성 이론 입니다.

      얼음 표면에는 아주 미세하게 물이 있고, 얼음 위에 올라가면 압력에 의해 물이 더 많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얼음 바로 위에 물로 인해 훨씬 더 미끄러워 지게 되어 마찰력이 많이 줄어듭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마찰력이란 접촉하고 있는 두 물체가 서로 미끄러지려 할 때 미끄럼을 방해하는 힘을 말합니다.

      종이 위에 연필로 쓴 글씨를 지울 때에도 마찰력이 작용하고, 얼음 위를 걷다 넘어질 때에도 아주 작은 마찰력이 작용합니다. 이렇듯 마찰력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마찰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접촉면의 거칠기와 수직항력에만 영향을 받습니다. 마찰력은 접촉하고 있는 두 물체의 접촉면의 성질에 따라 크기가 달라집니다. 따라서 마찰력은 물체의 재질과 성질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마찰력이 물질마다 다른이유는, 마찰력 F = umg (u: 마찰계수, m은 질량, g:중력가속도)의 식으로 표현됩니다.

      그래서 마찰계수가 물질마다 다른데 얼음은 다른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죠. 그래서 마찰력이 작아서 미끄러운 거랍니다.

      물질의 거칠기 등 다양한 요소가 고려되어 마찰계수가 정해진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