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23.12.27

날씨가 많이 추울때 물을 뿌리면 물이 흩날리면서 얼음이 되는 것 같은데 어떤 원리 인가요??

날씨가 많이 추울때 물을 뿌리면 물이 흩날리면서 얼음이 되는 것 같은데 어떤 원리 인가요?? 던지면서 바람에 의해 날씨가 더 추워져서 어는 것인지 아니면 물이 흩날리면서 외부 공기와 닿는 표면적이 넓어지면서 어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인형 과학전문가 입니다.

    기본적으로 아시다시피 영하의 날씨에는 물이 얼지요

    영하의 대기상태에서 물을 뿌리는 순간 물의 온도가 영하 이하로 내려가는 순간 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매우 추운 날씨에 공중에 물을 뿌리면 즉시 얼어버리는 현상은 과냉각과 증발 냉각의 한 현상중의 하나입니다.

    물이 0도 이하로 냉각되더라도 즉시 얼어붙지는 않습니다. 0도 이하의 온도이지만 얼음이 생기기 전의 상태를

    과냉각 상태라고 합니다. 얼음이 생성되려면 불순물이 있으면 얼음이 생성되는데 도움이 되는데,

    공중에 물방울이 날리면 공기 중의 먼지가 불순물이 되어서 얼음이 생성되기도 합니다.

    또한, 물이 주변의 공기가 너무 낮으면 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열을 가지고 있어서 물 분자가 증발하면서

    물의 온도가 더 낮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공기중에서 더 빠르게 얼음으로 변하게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