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23.04.25

우리나라에서 가부장제는 언제부터 내려왔나요?

가부장제는 가장이 아버지 중심이면서도 며느리가 시댁에서 일하고 자녀들이 친가에서 지내도록 하는

제도였잖아요.

그런데 우리나라의 가부장제는 언제부터 내려왔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부장적 제도는 사실 수렵 생활을 시작 할 무렵 원시시대 부터 시작 된 것 입니다. 수렵 채취시대에도 자녀의 출산과 양육을 여성이 담당할 수 밖에 없었다는 사실은 성별 역할 분화와 이에 입각한 남성의 여성에 대한 통제를 가능하게 했다고 볼수 있습니다. 가부장제의 전형적인 성격은 우선 가족 내에 형성된 가부장권의 특징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가부장권의 첫 번째 특징은 가족구성원에 대한 거의 절대적인 지배권이라 할 수 있는데요. 즉, 혼인·이혼·상급학교 진학 등 가족 내의 모든 문제가 부모, 특히 아버지의 의사에 따라 처리됩니다.두 번째 특징은 가산(家産)에 대한 독점적 지배권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가장은 조상 대대로 상속되어 온 재산은 물론, 자기가 취득한 재산을 독점적으로 소유하며 처분할 수 있지요.세 번째 특징은 가족의 영속성을 실현할 가계 계승권입니다. 가장은 조상 숭배를 계속시켜야 하며 가통(家統)을 계승시킴으로써 가족의 영속성을 보존하여야 한다. 물론, 오늘날 우리나라의 가부장권은 이러한 특징들이 상당히 약화된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가부장권이 완전히 붕괴된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부장제적인 폐습은 유교의 영향때문 이라고도합니다

    우리는 전통적인 가치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서구에서 들어온 종교나 가치의 영향도 많이 받고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

    근본적으로 그 시대의 사회,경제적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리스나 미국도 오랜 관습이었고 그것은 경제적 활동이 남자냐 여자냐의 영향 아닐까 생각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