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아기가 장난감을 혼자 가지고 놀 때에 부모의 개입?
어린 아기가 장난감을 혼자 가지고 놀 때에 보통 부모들이 귀엽고 잘 논다고 하여 하나라도 더 손에 쥐여주고 사진을 찍고 하는 행동이 오히려 아기한테는 좋지 않은 것인가요? 놀이를 방해하는 것인지, 어떻게 해주는 것이 좋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돌 미만의 아기의 경우에요.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놀이를 할때에 장난감을 주고 사진을 찍고 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습니다.추억을 남겨야 하니까요.
혼자서도 잘 놀고 있지만 함께 놀이를 하고 싶다면 먼저 아이의 행동을 따라서 해봅니다. 소꼽놀이를 하고 있으면, 소꼽놀이를,병원놀이를 하고 있으면 병원놀이를,그리고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행동으로 상호작용해줍니다.
같이 놀아 줄때 아이들은 동질감을 느끼고 엄마에게 더 애착을 갖고 신뢰를 가집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든 연령의 아이들에게는 어른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아이가 잘 놀고 있는데 갑자기 개입하여 무언가를 하게 되면 아이의 놀이 흐름이 깨져 버릴 수도 있어요.
돌 미만의 아기도 마찬가지로 혼자 놀이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잘 논다고 방치하는 것이 아닌 옆에서 지켜보면서 아이의 놀이의 작은 반응과 적절한 상호작용을 해주시고 아이가 놀이하다 쳐다보면 눈 마주쳐 주시면 아이가 다시 안정감을 느끼고 놀이에 집중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혼자 장난감을 가지고 놀때 어느정도의 공감이나 호감의 표시는
아이에게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도록 합니다.
다만 너무 지나친 개입은 아이에게 혼란을 줄 수도 있으니 아이의 행동을 보면서
도움을 주는 정도만의 개입이 충분하다고 보여집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가 공유(함께사용)의 가치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첫째, 부모는 아기에게 "이 장난감은 우리 친구와 함께 나누는 거야"라는 식으로 말해주면서 실제로 공유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둘째, 아기가 친구와 함께 놀 때, 장난감을 공유했을 때의 긍정적인 결과를 강조해주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너가 친구와 장난감을 나눴더니 친구가 너와 함께 더 많이 놀아줬어!"와 같은 이야기를 해주면 아기는 공유의 기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셋째, 나누기 게임을 만들어 아기가 친구들과 함께 공유의 즐거움을 경험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아기는 소유욕을 줄이고 친구들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혼자노는 행동 자체가 어떻게 보면 놀이에 리듬을 느끼고 있는것인데 사진을 찍기 위해 멈추도록 하는것은 놀이에 대한 리듬감을 깨트리는것이기에 자제하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아이가 집중해서 놀고 있다면 노는 것을 지켜보되
지루해하면 장난감을 바꿔주는 등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놀이에 집중해서 놀고 있을 땐 다른 관심을 보여준다면 놀이에 방해가 될 것 같아요.
아이의 놀이에 참여해서 상호작용 놀이를 해 주는 건 아이의 언어력 발달에 도움이 되는 데,
사진 찍는 것처럼 뭔가를 요구 하는 건 놀이에 방해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