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빌리트리
빌리트리22.10.07

무선 리모콘은 어떻게 신호를 공기중에서 주고받을 수 있는거죠?

무선 리모콘은 어떻게 신호를 공기 중에서 주고받을 수 있는거죠?


유선이야 당연히 전선을 타고 신호가 갈테지만 무선은 어떤 원리로 신호를 주고 받는지 궁금하네요.


휴대폰 데이터 통신도 같은 맥락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07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간에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존재하고 전기장은 전하의 영향력이 끼치는 영역이고, 자기장은 자석의 영향력이 끼치는 영역입니다. 전기장이 공간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면 자기장이 만들어지고 자기장이 또 시간에 따라 변화하면 전기장이 만들어집니다. 서로 교차하며 만들기때문에 결국 둘은 같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전자기파 입니다. 전자기파는 서로 교차하면서 진동이 발생되는데 1초동안 반복되는 진동수에 따라 주파수가 결정되고, 이 파장에 정보를 흘려보내 무선 통신이 되는 것입니다. 라디오, 무선통신 모두 같은 원리 입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전파신호에 대한 내용을 먼저 설명해야할 것 같습니다. 핸드폰 뿐만아니라, 라디오, TV 등등 대부분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기기들은 전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말을하면 공기의 파장에 의해 소리가 전달되듯 이런 파장을 이용한 방식과 동일한 성질을 이용한것인데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가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모르는 것일뿐 이런 전파들이 사방으로 전달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신호의 세기, 주파수등을 조절하여 컴퓨터가 0/1로 통신하는 것과 같이 정보를 담아서 전달하고 있고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리모컨은 버튼에 따라 각기 다른 적외선 신호를 발생 시킵니다. 이 적외선 신호를 리모컨에서 TV로 보내고, TV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적외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버튼에 따른 명령을 처리하여 반영해주는 원리입니다.

    리모컨의 앞부분에 적외선이 나오는 LED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우리 눈은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볼 수 없지만 핸드폰 카메라로 이를 비춰보면 반짝임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핸드폰 카마레에서 적외선을 받아 가시광선으로 표현해주기 때문에 보실 수 있는 것입니다.

    휴대폰 데이터 통신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전파(빛)를 주고 받으며 파장(적외선과 다른 파장)에 따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명령을 처리해 우리에게 친숙하게 표현해줍니다.

    궁금증이 해결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선 리모콘은 보통 적외선영역의 전파를 주고받아 신호를 전달합니다.


    전자기파는 매질의 영향을 잘 받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기파 중에 적외선이라는 게 있습니다.

    모든 전자기파는 정보를 실을 수 있는데, 리모콘은 적외선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것입니다.


  • 리모콘은 적외선을 방출하여 신호를 송수신합니다.

    하지만 요즘 IoT는 아예 처음부터 기기를 설치할 때 와이파이를 연결해두고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로 제어가 가능하기도 합니다.

    휴대폰 데이터 통신은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식이므로 엄밀히 말하면 다른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