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총명한랍스타156
총명한랍스타15622.11.06

태풍이 회전을 하면서 이동하는데 이유가 궁금해요

여름이면 많은 크고 작은 태풍이 생겨나는데 우리나라도 여름철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많이 발생합니다

그런데 태풍이 생성이되어 이동할때 회전을 하면서 이동을 하는데 왜 회전을 하면서 이동하는데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의 경우 저기압(상승 기류)의 이동입니다. 저기압의 경우 외부에서 바람이 불어 들어와 상승기류를 만들어 상공에서는 바람을 밖으로 불어내죠. 여기서 바람이 들어오가 나갈 때 반시계 방향이나, 시계 방향이 되는 이유는 전향력(코리올리 효과)에 의해서 입니다. 또한, 이러한 저기압이 바람을 타고 이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회전하면 이동하는 것이죠.

    <코리올리>

    태양, 지구를 위에서 바라볼 때 지구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합니다. 그리고 이상황에서 우리가 적도에서 물체를 북극 방향으로 쏘았다고 상상해보죠. 지구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에서 본 관찰자 입장에서는 분명 물체를 북극방향으로 쐈는데 오른쪽으로 휘어서 날아갈 것입니다. 왜냐하면 적도에서 자전속도로 인해 오른쪽으로 운동하려는 관성이 작용하기 때문이죠. 이 관성은 적도에서 자전 속력이 가장 빨라 지구의 북반구보다 강합니다. 이를 코리올리 효과라고 하며, 마치 지구 관찰자의 입장에서 힘을 받는거 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관성력으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북반구에서 태풍이나 배수구에서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지도 바로 이해가 가실겁니다. 태풍이나 배수구의 경우는 위쪽 유체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왼쪽으로 휘며, 아래쪽 유체는 위쪽으로 이동하며 오른쪽으로 휘기 때문이죠. 지구의 자전에 의해, 코리올리 효과에 의한 것이죠.


  • 태풍 외에도 바람이 불기 때문입니다.

    태풍의 회전이

    -------------->

    ↑ ....................↓

    ↑ ....................↓

    <-------------라고 하고

    바람이 --------------> 방향으로 분다면

    --------------> --------------> (덧셈이 되어 더욱 강해짐)

    ↑ ....................↓

    ↑ ....................↓

    <------------- --------------> (뺄셈이 되어 약해짐)

    이 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되면 가만히 회전하지 못하고 반드시 이동을 하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6

    해수면의 온도가 올라가고 수증기가 발생되면 저기압이 형성되면서 강한 상승기류가 나타납니다.

    저기압의 상승기류에 의해 하늘로 올라간 수증기가 온도가 점점 떨어지게되면 구름이 형성되게 됩니다.


    강한상승기류에 의해 지속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공기와 수증기가 올라가고 이때 지구자전으로 발생되는 전향력의 영향으로 위로 올라가는 공기와 수증기가 회전하게 됩니다.


    북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남반구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돌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