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24.02.01

우리 나라 역사상 소방관은 언제 처음 공식적으로 뽑기 시작했는데 역사가 궁금해요

오늘 뉴스를 보니 문경 소방관 순직 소식이 전해지는데 참 안타깝네요. 이런 훌륭한 소방관은 우리나라 역사상 언제부터 뽑기 시작했는데 역사를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수줍게웃는타킨108
    수줍게웃는타킨108
    24.02.03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인 1948년 경, 소방행정을 경찰로부터 분리하여 내무부 치안국 소방과로 개편하면서 소방관이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하였습니다. 이 때부터 대한민국에서 소방관을 공식적으로 선발하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4.02.01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 8년 (1426) 2월, 병조 아래 소방관아인 '금화도감'을 설치했습니다.

    우리나라 첫 소방관의 탄생은 이렇게 시작됐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대적인 소방관의 역사는 해방 후 소방업무는 내무부 치안본부의 소방과에서 담당하는 식으로 경찰이 맡았으나, 1975년 치안본부에서 민방위본부로 이관된 뒤 소방국으로 승격하면서 본격적으로 경찰의 입김을 벗어나 독자적인 업무를 맡게 되었던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소방관은 1431년에 금화군입니다. 군인이나 관청의 노비로 이루어진 비상 대기조와 비슷했으며 금화군 곁에는 물을 긷고 나르는 급수비가 따라다니며 임무를 도왔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금화도감은 조선 세종 때 설립된 소방기관이며 포도청과 같이 중앙을 담당하던 기관이기에 현재로 치자면 서울시 소방 재난 본부의 역할을 했다고 보면 됩니다. 1426년에 벌어진 한양 대화재를 계기로 설립되었습니다. 당시 금화도감의 대책은 21세기 현재의 시각으로 봐도 꽤 괜찮은 대응이었는데, 현재의 방화벽에 해당되는 방화장을 초가집 사이에 지었고, 가옥 5개 마다 우물을 파서 현재의 급수 펌프와 비슷한 기능을 하게 했으며, 화재가 나면 소속 부하들을 이끌고 끄게 했다고 합니다.